?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피라TV]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표본집계 결과' 전세살이 2년 새 377만에서 296만으로 감소하고, 월세 사는 20대는 5년 사이 8.0%p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우리나라 월세살이 가구가 지난해 처음으로 400만 가구를 돌차, 전세 거주 비중을 뛰어 넘은 것이다. '헬조선'이란 만이 그냥 생긴 말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 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

 

월세살이.jpg

 

1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표본집계 결과-인구·가구·주택 기본특성항목'에 따르면 2015년 월세 거주 가구는 436만8000가구로 전체(1911만2000가구)의 22.9%를 차지했다. 5년 전에 비해 2.8%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우리나라 월세 거주 가구는 2000년 180만3000가구(12.6%) 수준이었으나 ▲2005년 272만8000가구(17.2%), ▲2010년 349만가구(20.1%) 등으로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갔다.

반면 전세 거주 가구는 2010년 376만6000가구(21.7%)에서 지난해 296만1000가구(15.5%)로 줄었다. 전체 가구 대비 구성비는 5년 사이 6.2%포인트나 감소했다.

이에 1980년 이래 처음으로 월세 거주 가구 비중이 전세 비중을 넘어섰다. 전세값 상승과 집주인들의 월세 선호 경향이 맞물리면서 나타난 결과로 해석된다.

 

자기집 거주 가구는 2010년 939만(54.2%)에서 2015년 1085만(56.8%)으로 늘었다.

연령별로도 모든 연령층에서 5년 사이 전세비율은 감소하고 월세비율이 높아졌다. 특히 20대 가구의 주택 점유형태 변화가 뚜렷했다.

20~29세 가구주의 경우 2010년 전세가 28.5%, 월세가 52.1%였지만, 2015년에는 전세가 19.8%로 줄고 월세가 60.1%까지 늘었다. 월세 거주 가구가 2배 수준에서 3배 이상으로 뛴 셈이다.

한편 가구당 평균사용방수는 2010년 3.7개에서 2015년 3.8개로 소폭 증가했다. 1인당 평균사용방수도 1.4개에서 1.5개로 높아졌다.

그러나 동시에 '원룸' 거주 가구 비중이 2010년 7.6%(131만 가구)에서 2015년 8.6%(164만8000가구)로 늘었다.

방 1개에 거주하는 가구주 연령대는 20대가 35.2%로 가장 많았고 30대(22.1%), 40대(15.7%)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월세살이 가구가 증가하는 것은 저출산과도 깊은 연관성이 있다. 이 시대 청년층은 결혼을 하더라도 출산을 부정하는 문화 인식이 급속도로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헬조선 시대에서 일반 서민이 출산을 하는 것 자체가 부모로서 자식에게 죄를 짓는 것이라는 인식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출산 후 자녀 양육에 소요되는 비용충당에 대한 자신감 결여 또한 원룸 월세살이 가구가 증가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이다.

 

어찌보면 이는 당연한 인식일 수 밖에 없다. 자기 혼자 또는 부부 단둘이 원룸 월세살이 조차 녹녹치 않은 현실에서 무슨 말로 그러면 안된다고 나무랄 수 있겠는가.

 

재벌2,3세들과 부패 정치인, 부패 법조인의 벽을 넘기 힘든 서민의 출산은 그 자체가 범죄보다 더 무서운 실수라는 젊은이들의 서글픈 편견은 이제 헬조선의 현실이 되었다.

 

이런 저출산 시대에서 원룸 월세가구가 늘어나는 것은 예견된 일이라 할 수 있다.

 

고위층의 도덕과 리더십이 모두 무너진 채 아무런 대안없이 저출산 고령화 월세살이 늪에 빠져있는 대한민국은 앞으로 수십년 내에 경제적 근심이 없는 재벌 친인척과 권력층의 자손들, 그리고 노인들만 함께 모여 사는 우울한 나라가 될 수도 있다.

 

 

스피라TV 박동혁 편집국장

 

< 저작권자 ⓒ 스피라티비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4 경찰, 의협 전현직 간부 5명 소환 통보 file 김성은 기자 2024.03.04 1
1043 의협 "제약사 집회동원 의혹 법적 대응" file 김성은 기자 2024.03.04 5
1042 전청조 사기 공모 남현희, 혐의없음…경찰, 불송치 결정 file 김성은 기자 2024.03.04 9
1041 서울 연신내 9중 추돌사고…폐지 줍던 70대 사망 file 김성은기자 2024.02.29 3
1040 "성인배우 이름부터 포털에 떴다"…총선 예비후보, 경찰에 신고 file 김성은기자 2024.02.28 3
1039 "잘 돌봐줄게"…장애인 데려와 쇠창살에 가두고 폭행한 '악마' 목사 file 김성은기자 2024.02.26 5
1038 전공의, 휴대폰 꺼놓고 복귀명령, 필수 의료 지원책 거부 file 김성은기자 2024.02.21 1
1037 이번엔 소아과의사회장이 대통령 행사장서 '입틀막' 끌려나가 file 김성은기자 2024.02.21 0
1036 ‘논문 조작’ 혐의 검찰 조사받던 국립대교수 부안서 숨진 채 발견 file 김성은기자 2024.02.21 3
1035 경찰, '북한 해킹 의혹' 대법원 전산정보센터 압수수색 file 김성은기자 2024.02.20 4
1034 카이스트 동문들, ‘졸업생 강제 퇴장·연행’ 대통령 경호처 고발 file 김성은기자 2024.02.20 2
1033 국회의사당서 새벽에 음주 흉기 난동…50대 남성은 왜 그랬나? file 김성은기자 2024.02.20 4
1032 노무법인 병원가 짜고 산재보혐로 30% 씩 챙겨, 고용노동부 산재보험 제도 손본다. file 이원우기자 2024.02.20 17
1031 전공의 정부 업무개시명령 대처법 SNS를 통해 무분별 확산, 환자 곁을 지키지 않는 의사들 file 이원우기자 2024.02.20 16
1030 "모친 치매" 선처 호소한 이루…'음주운전·바꿔치기' 법정 다시 선다 file 김성은기자 2024.02.19 2
1029 친형 징역 2년, 형수 무죄에 박수홍 측 "양형 다퉈야" 항소 의지 file 김성은기자 2024.02.14 6
1028 제주 해녀 안전사고 가장 치명적인 것은? file 김성은기자 2024.02.12 0
1027 천안논산고속도서 마약 투약 의심 20대가 9중 추돌 사고 내 file 김성은기자 2024.02.09 3
1026 마약투약 의심 20대, 천안논산고속도서 9중 추돌사고 file 김성은기자 2024.02.09 0
1025 MZ노조 '법정단체'로…경사노위 참여 추진 file 김성은기자 2024.02.08 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5 Next
/ 55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