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0005722289_001_20240425161806203.jpg

 

 

[씨티경제/김성은 기자] 태광산업이 모다크릴(modacrylic) 사업을 위해 설립한 나이지리아 사무소 철수를 결정했다. 소비침체와 업황 악화 등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해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고 사업 효율화롤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시장에서는 낮은 사업성과 태광산업의 사업 구체화 움직임이 거의 없는 만큼 철수 가능성에도 무게가 실리고 있다.

 

23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태광산업은 아프리카 모다크릴 사업을 위해 나이지리아 현지에 마련한 사무소를 철수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시점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업황과 현지 상황 등을 고려했을 때 연내 철수가 유력하다는 전망이다.

 

앞서 지난 2021년 태광산업은 아프리카와 북미, 유럽 지역 흑인 가발 수요를 공략하기 위해 모다크릴 사업 진출을 선언하고 나이지리아 라고스에 영업과 마케팅을 위한 법인과 사무소를 설립한 바 있다. 모다크릴은 폴리아크릴계섬유로 인조가발과 인조모피, 난연재로 주로 사용된다. 태광산업의 모다크릴 상용화 사례는 일본 카네카에 이어 두 번째다.

 

태광산업이 나이지리아 현지 사무소 철수를 결정한 것은 모다크릴 사업 효율화 성격이 강하다.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 감소와 시장 진입 지연 등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체질개선에 나섰다는 설명이다. 실제 모다크릴 시장은 일본기업인 카네카가 독점적 지위를 갖고 있어 후발 주자들이 진입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태광산업 내부에서도 소비 심리 위축과 업황 악화를 이유로 단기간 내에 사업 반등이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태광산업이 사업보고서에 “생존을 목표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명시한 것도 이같은 배경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시장에서는 태광산업의 모다크릴 사업 완전 철수에 대한 가능성도 제기된다. 태광산업이 모다크릴 사업 진출 이후 지난 3년여간 이렇다할 성과를 내지 못한데다 구체화된 투자 계획 역시 전무하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11월 모다크릴 사업 중단 안건이 이사회에 상정됐던 만큼 철수설에 무게가 실릴 수밖에 없다.

 

실제 태광산업 나이지리아 법인의 지난 3년간 매출은 총 4000만원에 불과하다. 특히 지난해에는 매출이 전무했다. 같은 기간 순손실과 포괄손실 규모도 각각 2억3000만원, 3억3000만원으로 이익을 전혀 내지 못하고 있다. 미미한 수준의 매출과 지속적으로 손실을 기록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페이퍼컴퍼니에 가까운 셈이다.

 

이과 관련 태광산업 측은 모다크릴 사업 축소는 아니라는 입장이다. 국내에 모다크릴 생산라인과 공정을 갖추고 있는 만큼 사업 구체화 가능성은 현재도 열려 있다는 설명이다.

 

태광산업 관계자는 “B2B인 모다크릴 사업 특성상 별도의 사무소를 유지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며 “현지 사무소 철수가 아프리카를 비롯한 모다크릴 시장을 포기하겠다는 뜻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사업 방향성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고 있지만 완전 철수를 고려하고 있진 않다”며 “기존 공급망을 활용해 유통채널을 개척하는 방안을 포함해 다양한 가능성을 염두해 두고 있다”고 덧붙였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 '조선일보는 대한민국 언론이길 포기했나' file 스피라통신 2019.07.19 5317
24 '재계 큰 별 지다'...조석래 명예회장 빈소 조문 행렬 file 김성은기자 2024.03.31 87
23 '작은 주택' 가격이 치솟고있다 file 스피라통신 2018.05.27 5586
22 '임대사업자 전세 없나요?'... 불붙은 전셋값, 기름부은 임대사업자 폐지 file 스피라통신 2021.06.12 11286
21 '외환은행 헐값매각' 론스타 전 지사장, 이탈리아서 검거 file 최고운영자 2017.08.22 30
20 '얼마나 다급했으면'..美, 미검증업체 마스크 장당 6달러 구입 file 스피라통신 2020.04.19 4351
19 '양문석 편법대출 의혹' 대구 새마을금고 현장검사 마무리 file 김성은기자 2024.04.01 157
18 '알펜시아 입찰 담합' KH그룹 "행정소송 대응" file 김성은기자 2024.04.18 622
17 '아베 G20 이후, 반도체 소재 한국 수출 규제' file 스피라통신 2019.06.30 5879
16 '손정의 나스닥 고래였다... 기술주 콜옵션 4.8조 매입' file 스피라통신 2020.09.05 15369
15 '서울 집값이 미쳤다' 고삐 풀린 주택시장 file 스피라통신 2018.08.24 7570
14 '삼성바이오' 투자자 속 타는데, 거래정지 기간 길어진다 file 스피라통신 2018.11.29 6403
13 '삼성' 휴대폰 또 폭팔 원인 조사중 file 스피라통신 2018.05.25 4066
12 '사재기 없는' 한국이 옳았다.. 식량난 걱정은 기우 file 스피라통신 2020.04.13 4649
11 '뻥튀기 상장' 논란…파두 사태 법정행 file 김성은기자 2024.03.14 41
10 '바이든 대통령+공화당 상원' 조합 탄생... 뉴욕증시 계속 오를까 file 스피라통신 2020.11.05 12456
9 '몇 천원 보상이라고?'… KT 고객들, '빈약'한 보상안에 분통 file 스피라통신 2021.11.01 12392
8 '땅 투기' LH 임직원 성과급 모조리 토해낸다... 3년간 연봉도 동결 file 스피라통신 2021.06.07 9485
7 '디즈니' 79조원에 폭스 인수 file 스피라통신 2018.06.21 6280
6 '규제가 뭐야?'... 중국인 서울 아파트 쓸어담는다 file 스피라통신 2020.10.21 9954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