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서 제주도 몰린 ‘불청객’…악취에 경관 해쳐

by 김성은기자 posted Mar 25, 20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0005277803_001_20240325172205599.jpg

 

[씨티경제/김성은 기자]처치 곤란인 괭생이모자반이 제주로 유입되는 시기에 맞춰 대책반이 편성됐다.

 

제주특별자치도는 괭생이모자반 유입에 대비해 도 해양수산국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괭생이모자반 상황대책반을 구성했다고 25일 밝혔다.

 

국내로 유입되는 괭생이모자반은 대부분 중국 연안의 암석에 붙어살다가 파도나 바람에 의해 떨어져 나와 3~6월 사이 우리나라 연안으로 밀려온다. 밀려온 괭생이모자반은 바다에서 선박 회전용 추진 날개(스크루)에 감겨 운항을 방해하고, 해안가에서는 바위에 달라붙은 뒤 썩으면서 악취를 풍기거나 경관을 망쳐 바다의 불청객으로 불린다.

 

제주에서 괭생이모자반 수거량을 보면 20182087t, 20191095t, 20205851t, 20219755t, 2022502t, 지난해 414t 등이다.

 

이번 상황대책반은 도·행정시·읍면동뿐 아니라 국립수산과학원, 해양환경공단, 한국어촌어항공단, 제주지방해양경찰청,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수협 등 유관기관으로 구성된다. 각 기관은 도내 해변과 항·포구의 괭생이모자반 유입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유입 시 신속한 수거를 위한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제주도는 상황전파를 비롯해 괭생이모자반 방제 대책을 총괄한다.

 

행정시와 읍면동은 괭생이모자반 유입 시 바다환경지킴이 등을 활용해 신속하게 수거하고 피해조사를 맡는다.

 

유관기관은 각 전문성을 활용한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유입 조사·예보발령, 자료를 분석하고, 해양환경공단, 한국어촌어항공단, 제주지방해양경찰청에서는 각각 청항선, 어항관리선, 방제정을 활용해 해상 수거를 지원한다.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및 수협에서는 조업 선박을 대상으로 안전 운항 수칙 등을 홍보·계도한다.

 

정재철 제주도 해양수산국장은 괭생이모자반이 도내 해변과 항·포구에 근접할 것에 대비해 만반의 준비 태세를 갖추겠다고 말했다.

 

 


Articles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