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피라TV]

 

 

사진.jpg

<9월 모의평가 관련 사진 출처:네이버>

 

‘킬러 문항’ 배제 방침이 적용된 첫 시험이었던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 국어는 비교적 어려웠던 반면 수학은 만점자가 2500여명이나 나오는 등 통합수능 실시 후 가장 낮은 난이도의 시험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본수능에서도 이런 출제기조가 유지될 경우 그동안 수학 고득점자에게 압도적으로 유리했던 입시 판도가 크게 바뀔 것으로 전망된다.

 

4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발표한 9월 모의평가 채점결과를 보면 영역별 표준점수 최고점은 국어 142점, 수학 144점이었다. 표준점수는 원점수가 전체 수험생 평균과 얼마나 차이나는 지를 측정하는 점수로 최고점이 높을수록 시험이 어려웠다는 뜻이다. 

 

이번 수학 표준점수 최고점은 문·이과 통합수능이 실시된 2021년 이후 평가원이 출제한 8차례의 시험 가운데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수능보다는 1점, 올해 6월 모의평가보다는 7점 낮았다. 반면 1등급 구분점수는 135점으로 지난해 수능(133점), 올해 6월 모의평가(127점)보다 높아졌다. 

 

표준점수 최고점은 하락한 반면 1등급 구분점수는 상승했다는 것은 더 좁은 구간 안에 1등급 학생들이 촘촘히 분포해 있다는 뜻으로, 최상위권 변별력이 떨어졌음을 의미한다.

 

지난해 수능에서 934명, 올해 6월 모의평가에서 648명 나왔던 수학 만점자도 이번 시험에서 2520명으로 무려 3~4배가량 증가했다. 올해 전국 의예과 정시모집 선발인원은 1144명인데 수학 만점자가 이보다 두 배 이상 많은 것이다. ‘킬러 문항’ 배제 방침으로 주관식 문항의 난이도가 하락하면서 만점자가 속출한 것으로 보인다.

 

본수능에서도 수학이 비교적 평이하게 출제되는 기조가 유지될 경우 최상위권 의대를 노리는 수험생이라면 수학에서 실수를 하는지 여부가 당락을 가를 수도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 관계자는 “지금 수준으로도 충분한 변별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으며 다른 영역의 점수도 복합적으로 보면 변별에 문제는 없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국어가 어려워지고 수학이 쉬워지면서 통합수능의 고질적 문제로 지적됐던 국어와 수학의 표준점수 최고점 격차는 2점으로 줄어들었다. 지난해 수능에서는 수학 표준점수 최고점이 국어보다 11점이나 높게 나오면서 이과생들이 높은 수학 점수를 기반으로 상위권 대학 인문사회계열 학과에 교차 지원하는 ‘문과 침공’ 현상이 큰 문제가 됐다. 

 

본수능에서도 9월 모의평가처럼 국어와 수학의 표준점수 격차가 거의 없어질 경우 수학 점수가 가장 중요했던 정시모집 판도에도 상당한 변화가 생길 것으로 보인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국어가 올해 본수능에서 변별력 주요 변수 과목으로 부상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절대평가로 치르는 영어는 원점수 90점 이상인 1등급 비율이 4.37%로 나타나 상당히 까다로웠던 것으로 평가됐다. 이번 시험의 영어 1등급 비율은 절대평가가 도입된 2018학년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다만 입시업체들은 대체로 본수능에서는 영어가 조금 더 평이하게 출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9월 모의평가 성적표는 5일 수험생들에게 통지된다.

 

 

 

스피라TV 이원우 기자 spirra2w@naver.com

 

<저작권자 ⓒ 스피라티비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24 '계곡살인' 이은해 2심도 불복, 대법원까지 간다.. 목적은 보험금? file 이원우기자 2023.05.02 22210
1023 법원 "민주노총, 퇴근 시간 집회 가능", 경찰 즉시 항고 file 이원우기자 2023.07.05 22188
1022 대학 동기 DNA 체내에 넣고 유사 강간 당했다고 무고한 30대 여성, 무고죄로 재판에 넘겨져 file 이원우기자 2023.01.20 22177
1021 법원, 가출 여고생 그루밍해 마약 투약 후 강제 성매매 시킨 20대 남성 실형 선고 file 이원우기자 2023.02.08 22171
1020 7년 4개월만 '세월호 유족 국가배상' 판결, 법무부 상고 포기 file 이원우기자 2023.01.31 22171
1019 법원 HIV 감염 상태로 친딸 성폭행한 A씨에 징역 12년형 선고 file 이원우기자 2022.12.16 22153
1018 현실판 마약왕 텔레그램명 '전세계' 필리핀 옥중서 마약 판매 file 이원우기자 2023.04.13 22037
1017 "너 왜 이렇게 싸가지가 없어" 경찰, 관리사무소 직원 표정 맘에 안든다고 얼굴에 가스총 쏜 60대 체포 file 이원우기자 2023.04.26 21684
1016 참사 희생자 명단 일방적으로 공개한 민들레, "본인 확인돼야 명단 삭제" file 이원우기자 2022.11.17 21555
1015 지하철 오늘 오후6시부터 정상운행 복귀, 인력감축 철회 없으면 수능 이후 2차 총파업 예고 file 이원우기자 2023.11.10 21542
1014 법원의 '압수수색 키워드' 논란, 일각에선 위헌 가능성까지 file 이원우기자 2023.02.13 21460
1013 초등학교 교사 죽음으로 내 몬 학부모 직장 게시판 항의글로 폭주 file 이원우기자 2023.09.22 21392
» 9월 모의평가 수학 만점자 2500명, 본 수능 변별력 갖춰야 file 이원우기자 2023.10.04 21367
1011 검찰 '관사 제테크', '공관 만찬' 등 이슈 메이커 김명수 대법원장 관련 사건 불기소 결정 file 이원우기자 2023.01.17 21359
1010 출근길 여성 묻지마 폭행한 男 정신병력 있다고 풀어줬다, 피해자는 누가 지켜주나? file 이원우기자 2023.06.01 21181
1009 김명수 대법원장, 대법관 추천 의혹 일파만파 file 이원우기자 2023.02.09 21143
1008 대법원 "구글, 미국 정보기관에 제공한 국내 이용자 내역 공개하라" file 이원우기자 2023.04.13 20922
1007 48일 만에 잡힌 '라임몸통' 김봉현, 체포 직전까지 저항 file 이원우기자 2022.12.30 20540
1006 일방적인 전장연 시위에 젊은이들 뿔났다. 올바른 노동조합 기자회견 file 이원우기자 2023.04.20 20523
1005 강남성형외과 IP카메라 영상 유출, 유명 연예인 등 피해자만 10여명에 달해 file 이원우기자 2023.03.08 2034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5 Next
/ 55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