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피라TV]

 

 

사진.jpg

<9월 모의평가 관련 사진 출처:네이버>

 

‘킬러 문항’ 배제 방침이 적용된 첫 시험이었던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 국어는 비교적 어려웠던 반면 수학은 만점자가 2500여명이나 나오는 등 통합수능 실시 후 가장 낮은 난이도의 시험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본수능에서도 이런 출제기조가 유지될 경우 그동안 수학 고득점자에게 압도적으로 유리했던 입시 판도가 크게 바뀔 것으로 전망된다.

 

4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발표한 9월 모의평가 채점결과를 보면 영역별 표준점수 최고점은 국어 142점, 수학 144점이었다. 표준점수는 원점수가 전체 수험생 평균과 얼마나 차이나는 지를 측정하는 점수로 최고점이 높을수록 시험이 어려웠다는 뜻이다. 

 

이번 수학 표준점수 최고점은 문·이과 통합수능이 실시된 2021년 이후 평가원이 출제한 8차례의 시험 가운데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수능보다는 1점, 올해 6월 모의평가보다는 7점 낮았다. 반면 1등급 구분점수는 135점으로 지난해 수능(133점), 올해 6월 모의평가(127점)보다 높아졌다. 

 

표준점수 최고점은 하락한 반면 1등급 구분점수는 상승했다는 것은 더 좁은 구간 안에 1등급 학생들이 촘촘히 분포해 있다는 뜻으로, 최상위권 변별력이 떨어졌음을 의미한다.

 

지난해 수능에서 934명, 올해 6월 모의평가에서 648명 나왔던 수학 만점자도 이번 시험에서 2520명으로 무려 3~4배가량 증가했다. 올해 전국 의예과 정시모집 선발인원은 1144명인데 수학 만점자가 이보다 두 배 이상 많은 것이다. ‘킬러 문항’ 배제 방침으로 주관식 문항의 난이도가 하락하면서 만점자가 속출한 것으로 보인다.

 

본수능에서도 수학이 비교적 평이하게 출제되는 기조가 유지될 경우 최상위권 의대를 노리는 수험생이라면 수학에서 실수를 하는지 여부가 당락을 가를 수도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 관계자는 “지금 수준으로도 충분한 변별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으며 다른 영역의 점수도 복합적으로 보면 변별에 문제는 없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국어가 어려워지고 수학이 쉬워지면서 통합수능의 고질적 문제로 지적됐던 국어와 수학의 표준점수 최고점 격차는 2점으로 줄어들었다. 지난해 수능에서는 수학 표준점수 최고점이 국어보다 11점이나 높게 나오면서 이과생들이 높은 수학 점수를 기반으로 상위권 대학 인문사회계열 학과에 교차 지원하는 ‘문과 침공’ 현상이 큰 문제가 됐다. 

 

본수능에서도 9월 모의평가처럼 국어와 수학의 표준점수 격차가 거의 없어질 경우 수학 점수가 가장 중요했던 정시모집 판도에도 상당한 변화가 생길 것으로 보인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국어가 올해 본수능에서 변별력 주요 변수 과목으로 부상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절대평가로 치르는 영어는 원점수 90점 이상인 1등급 비율이 4.37%로 나타나 상당히 까다로웠던 것으로 평가됐다. 이번 시험의 영어 1등급 비율은 절대평가가 도입된 2018학년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다만 입시업체들은 대체로 본수능에서는 영어가 조금 더 평이하게 출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9월 모의평가 성적표는 5일 수험생들에게 통지된다.

 

 

 

스피라TV 이원우 기자 spirra2w@naver.com

 

<저작권자 ⓒ 스피라티비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64 이승준 감독 '그대가 조국'은 조국 대변용 다큐가 아닌 진지한 성찰을 위한 다큐. file 스피라TV통신 2022.05.11 13491
863 이스라엘 유엔인권회의 유혈사태 조사 거부 file 스피라통신 2018.05.20 3997
862 이산가족 상봉 이틀째, 가족끼리 식사 file 스피라통신 2018.08.21 7859
861 이번엔 소아과의사회장이 대통령 행사장서 '입틀막' 끌려나가 file 김성은기자 2024.02.21 0
860 이명희,조현아 또 "죄송합니다" JUNE 2018.06.04 7022
859 이명희 일우재단 이사장 출국금지 조치 file 스피라통신 2018.05.10 3302
858 이명희 이사장으로부터 ‘갑질’을 당한 피해자 1~2명 더 있다 file 스피라통신 2018.05.08 2936
857 이명박,신동빈,김기춘,조윤선, 10월5일 줄줄이 선고 file 스피라통신 2018.09.27 7550
856 이명박 전대통령,3차 공판출석 file JUNE 2018.06.04 8245
855 이명박 전대통령, 첫 재판 다녀온 뒤 식사 못하고 잠도 못자 file JUNE 2018.05.25 6065
854 이명박 돌연사위험, 누리꾼들 '코웃음' file 스피라통신 2019.02.20 5286
853 이명박 1심 징역 15년·벌금 130억원, '다스 실소유주는 MB' file 스피라통신 2018.10.08 7006
852 의협 비대위원장 13시간 조사…"전공의 사직종용 전혀없어" file 김성은 기자 2024.03.15 32
851 의협 "제약사 집회동원 의혹 법적 대응" file 김성은 기자 2024.03.04 6
850 의자 제조업체 시디즈서 끼임 사고…30대 근로자 사망 file 김성은기자 2024.03.26 114
849 의사 업무 보지만, 의료법상 보호 못 받는 'PA 간호사'는 어떻게 하나? 복지부 PA 간호사 제도화 논의 file 이원우기자 2023.05.23 2845
848 의사 살해 40대 여성 유기한 시신 다시 꺼내 지장 찍었다. 도 넘은 엽기행각에 충격! file 스피라TV통신 2022.06.12 13482
847 의료계 '추가 응시 기회 달라' vs 국회 '현행 규정 위반' file 스피라통신 2020.10.01 9849
846 의료계 '의대생 기회 달라'… 정부 '불공정 특혜 불가능' file 스피라통신 2020.09.26 15945
845 의대증원 사태 기류 변화, 의료계 "핵심 쟁점 논의봐야" file 김성은기자 2024.03.24 20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55 Next
/ 55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