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피라TV]

 

 

사진.jpg

<9월 모의평가 관련 사진 출처:네이버>

 

‘킬러 문항’ 배제 방침이 적용된 첫 시험이었던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 국어는 비교적 어려웠던 반면 수학은 만점자가 2500여명이나 나오는 등 통합수능 실시 후 가장 낮은 난이도의 시험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본수능에서도 이런 출제기조가 유지될 경우 그동안 수학 고득점자에게 압도적으로 유리했던 입시 판도가 크게 바뀔 것으로 전망된다.

 

4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발표한 9월 모의평가 채점결과를 보면 영역별 표준점수 최고점은 국어 142점, 수학 144점이었다. 표준점수는 원점수가 전체 수험생 평균과 얼마나 차이나는 지를 측정하는 점수로 최고점이 높을수록 시험이 어려웠다는 뜻이다. 

 

이번 수학 표준점수 최고점은 문·이과 통합수능이 실시된 2021년 이후 평가원이 출제한 8차례의 시험 가운데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수능보다는 1점, 올해 6월 모의평가보다는 7점 낮았다. 반면 1등급 구분점수는 135점으로 지난해 수능(133점), 올해 6월 모의평가(127점)보다 높아졌다. 

 

표준점수 최고점은 하락한 반면 1등급 구분점수는 상승했다는 것은 더 좁은 구간 안에 1등급 학생들이 촘촘히 분포해 있다는 뜻으로, 최상위권 변별력이 떨어졌음을 의미한다.

 

지난해 수능에서 934명, 올해 6월 모의평가에서 648명 나왔던 수학 만점자도 이번 시험에서 2520명으로 무려 3~4배가량 증가했다. 올해 전국 의예과 정시모집 선발인원은 1144명인데 수학 만점자가 이보다 두 배 이상 많은 것이다. ‘킬러 문항’ 배제 방침으로 주관식 문항의 난이도가 하락하면서 만점자가 속출한 것으로 보인다.

 

본수능에서도 수학이 비교적 평이하게 출제되는 기조가 유지될 경우 최상위권 의대를 노리는 수험생이라면 수학에서 실수를 하는지 여부가 당락을 가를 수도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 관계자는 “지금 수준으로도 충분한 변별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으며 다른 영역의 점수도 복합적으로 보면 변별에 문제는 없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국어가 어려워지고 수학이 쉬워지면서 통합수능의 고질적 문제로 지적됐던 국어와 수학의 표준점수 최고점 격차는 2점으로 줄어들었다. 지난해 수능에서는 수학 표준점수 최고점이 국어보다 11점이나 높게 나오면서 이과생들이 높은 수학 점수를 기반으로 상위권 대학 인문사회계열 학과에 교차 지원하는 ‘문과 침공’ 현상이 큰 문제가 됐다. 

 

본수능에서도 9월 모의평가처럼 국어와 수학의 표준점수 격차가 거의 없어질 경우 수학 점수가 가장 중요했던 정시모집 판도에도 상당한 변화가 생길 것으로 보인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국어가 올해 본수능에서 변별력 주요 변수 과목으로 부상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절대평가로 치르는 영어는 원점수 90점 이상인 1등급 비율이 4.37%로 나타나 상당히 까다로웠던 것으로 평가됐다. 이번 시험의 영어 1등급 비율은 절대평가가 도입된 2018학년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다만 입시업체들은 대체로 본수능에서는 영어가 조금 더 평이하게 출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9월 모의평가 성적표는 5일 수험생들에게 통지된다.

 

 

 

스피라TV 이원우 기자 spirra2w@naver.com

 

<저작권자 ⓒ 스피라티비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64 '성추행 의혹' 휩싸인 정철승 박원순 전 서울시장 변호인 "가짜 미투" 혐의 부인 file 이원우기자 2023.04.14 29668
863 백현동 개발 특혜 의혹 핵심인물 김인섭 전 대표 구속 영장 기각 file 이원우기자 2023.04.14 23254
862 권도형 테라폼랩스 대표, 테라 루나 사태 전 100억원 가량 김앤장에 송금 file 이원우기자 2023.04.14 22224
861 김진표 국회의장 "선거제 개편 이르면 5월 마무리, 위성정당은 없어질 것" file 이원우기자 2023.04.14 14146
860 여-야, 의사-간호사 극한 갈등의 원인 '간호법' 너는 무엇이냐? file 이원우기자 2023.04.14 14649
859 대법원 "구글, 미국 정보기관에 제공한 국내 이용자 내역 공개하라" file 이원우기자 2023.04.13 20922
858 조정훈 시대전환당 의원 "조국 다 내려놓는 다더니 딸까지 셀럽 만들어" 맹비난 file 이원우기자 2023.04.13 33724
857 현실판 마약왕 텔레그램명 '전세계' 필리핀 옥중서 마약 판매 file 이원우기자 2023.04.13 22040
856 국민의힘 홍준표 대구 시장 상임고문에서 면직 결정, 홍 "30년 만에 처음 본다" file 이원우기자 2023.04.13 19408
855 검찰, 윤관석 더불어민주당 의원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압수수색 file 이원우기자 2023.04.12 27836
854 엠폭스 지역사회 전파됐나? 7,8번째 확진자 해외여행이력 없어. file 이원우기자 2023.04.12 12029
853 새로운 간호법 중재안에 자리 박차고 나간 간호사협회 file 이원우기자 2023.04.12 16756
852 미국 민간연구소 "북한 핵무기 40~45기 보유" file 이원우기자 2023.04.12 19909
851 다리 상처만 232개 '계모 학대 사망 인천 초등생' 친모 "친부도 살인죄 적용해라" file 이원우기자 2023.03.21 27262
850 공유기로 변장한 몰래카메라, 모텔서 70차례 불법촬영 file 이원우기자 2023.03.21 20132
849 검찰,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 '쌍방울 대북송금' 관여 혐의로 추가 기소 file 이원우기자 2023.03.21 20042
848 하다 하다 초등학교 까지 마수 뻗은 건폭노조, 부산 민노총 간부 A씨 특수공갈 혐의로 구속 file 이원우기자 2023.03.15 16804
847 그동안은 왜 잡지 못했나? 검찰, 창원간첩단 4명 구속기소 file 이원우기자 2023.03.15 10194
846 서울대 교수 50여명 속한 민주화교수협의회 "일제 강제동원 굴욕 해법 철회해라!" file 이원우기자 2023.03.14 18145
845 울산 노점 단속 공무원, 노점상 할머니 내동댕이 후 "공무집행 방해다!" file 이원우기자 2023.03.14 20139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55 Next
/ 55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