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피라TV]

 

 

한동훈 법무부 장관 사진.jpg

<한동훈 법무부 장관 사진 출처:네이버>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25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서 마약을 근절하려는 노력을 방해하려는 것이 마약정치라고 말했다.

 

한 장관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법의날기념식에 참석하면서마약은 정치를 모른다. 청소년과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서 마약을 잡겠다는데 거기에 정치가 왜 나오는지 모르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 장관의 말과 마찬가지로 국민들은 그동안 우리 나라가 마약 청정국으로 알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 10대 청소년들까지 마약에 쉽게 노출돼 마약을 투약하는 등 나이대를 불문하고 수없이 많은 마약 범죄가 일고 있는 것이 현재 대한민국 마약 범죄의 실상이다.

 

한 장관의 해당 발언은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전날 개인 SNS법무부 장관으로 마약정치 그만하고 내려와서 정치해야라는 글을 올리자 맞대응한 것이다.

 

추 전 장관은 전날 개인 SNS에 게시한 글에서한동훈의마약범죄 증가, 문재인 정부 탓은 근거없는 거짓이라며자신을 키워준 주군 윤석열 검찰총장 저격으로 누워서 침 뱉는 배신이며, 국민을 속이는 특수부 부활 시도라고 했다. 그러면서 “(한 장관에게서) 마약정치로 주목 받으려는 조급함이 자꾸 보인다. 정치하고 싶으면 내려와서 정치해야 한다고 했다.

 

이와 같은 추 전 장관의 발언에 대해 한 장관은마약정치라는 얘기는 추 전 장관이 새로 만든 신조어인가보다라며누가 잡든 확실하게 잡는 게 중요한 것이라고 했다. 이어청소년에게까지 마약이 번지는 상황에서 정치를 논할 문제가 아니고 최대한 신속하고 강력하게 근절해야 한다고 했다.

 

한 장관은 검찰의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불법 정치자금 의혹 수사에 대해선중대하고 국민 관심이 집중되는 사안인 만큼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수사할 것이라고 했다. ‘정치 탄압이라는 민주당 쪽 주장에 대해서는그 말씀은 여러 번 드렸다. (그런 주장에) 동의하지 않으시지 않느냐고 했다.

 

한 장관은 이날 법의 날기념사에서법치주의를 더욱 굳건히 지키고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범죄로부터 안전한 나라를 만드는 데 최우선의 정책 목표를 둘 것이고, 마약 확산을 막기 위해 범정부적 협력을 강화하는 것도 그 일환이라고 밝혔다. 이어기득권과 집단적 위력으로 법을 무력화하는 반법치범죄, 공동체의 의사결정 시스템과 신뢰를 깨뜨리는 부패와 가짜뉴스에 단호히 대응하겠다고 했다.

 

 

 

스피라TV 이원우 기자 spirra2w@naver.com

 

<저작권자  스피라티비 뉴스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

  1. 대한민국 국정감사에 등장한 '최고 존엄'발언, 법사위 국감 40분 만에 파행

  2. 이재명 '셀프 공천' 논란에 민주당 당권 주자들 맹비난

  3. 대통령 지지율이 당보다 낮다, 윤 대통령 지지율 긍정 33.3% VS 부정 63.4%

  4. 윤 대통령, 전 국정원장 고발 승인 여부 두고 여야 난타전

  5. '저학력, 저소득' 발언으로 논란에 휩싸인 이재명

  6. 당대표직 잃은 이준석 '법적대응' 공식화

  7. 이재명 대표 '개딸' 향해 최초 비판, "과한 행동은 당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8. 이재명 "모든 방향서 최대치 공격" 배우자 수사에 고충 토로

  9.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 "여가부 폐지 명확하다"

  10. 검찰 6.1 지방선거 관련 878명 수사 착수 이재명,안철수,김동연 포함

  11. 제2부속실의 부활인가? 청와대 청사 5층 김건희 여사의 다용도 접견실 만들 것

  12. 박지현 "최강욱 처벌 아쉬워"...고민정 "박지현 좀 더 신중해야"

  13. 당헌 80조 개정 찬성의사 밝힌 이재명에 박용진 "오죽 불안하면.." 비판

  14. 김경수 8월 가석방 대상 제외, 8.15 특별사면으로 출소하나

  15. '친이준석계' 줄줄이 사퇴, 사면초가 이준석

  16. '마약 정치'두고 현직 법무부 장관과 전직 법무부 장관 설전, 한 VS 추 결과는?

  17. 국민의힘 김종혁 "MBC 기자, 대통령 문답 당시 슬리퍼 차림 먼저 예의 생각하길"

  18. 홍준표 "난 김경수도 용서" 윤 대통령에 김경수 사면 촉구

  19. 최재형, 조해진, 하태경 "지금은 비상상황 아니야" 비대위 전환 반대

  20. 이재명 '불법 사채 무효법' 발의, 본격 민생행보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46 Next
/ 46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