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피라TV]

 

 

미국 샌디에이고에 위치한 퀄컴 본사 사옥 사진.jpg

<미국 샌디에이고에 위치한 퀄컴 본사 사옥 사진 출처:네이버>

 

 

공정거래위원회가 세계 최대 통신칩 제조사인 퀄컴에 1300억원이라는 사상 최대 규모의 과징금을 부과한 처분이 적법했다는 대법원의 최종판단이 나왔다.

 

대법원 3(주심 대법관 노정희) 13일 퀄컴 인코포레이티드(QI)와 계열사인 퀄컴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QTI), 퀄컴 CDMA 테크놀로지 아시아퍼시픽 PTE LTD(QCTAP) 등이 공정위를 상대로 낸 시정명령 등 취소소송에서 원고들과 피고의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원심판결을 확정했다. 재판부는 원심의 법리오해나 심리미진 등의 잘못이 없다고 판단한 것이다.

 

퀄컴은 특허이용을 원하는 사업자에게 표준필수특허(SEP) '공정하고 합리적이며 차별 없이 제공하겠다'는 내용의 국제표준화기구 확약(FRANDFairReasonable And Non-Discriminatory)을 선언하고 이동통신기술 분야에서 SEP의 독점적 보유자 지위를 인정받았다. 상류시장에선 이 특허기술에 관한 라이선스를 제공하고 사용료를 받는 동시에 하류시장에선 모뎀칩셋(휴대폰부품)을 제조·판매한다.

 

공정위는 2016 12월 퀄컴이 칩셋 특허권 시장에서 시장지배적 지위를 남용하고 불공정거래를 했다는 이유로 과징금 1300억원을 부과했다. 그러면서 퀄컴이 보유한 SEP를 차별 없이 칩셋 제조사 등에 제공하도록 하는 내용 등 10개 시정명령도 함께 내렸다.

 

원심은 이동통신 표준필수 특허 라이선스 시장과 CDMAWCDMALTE 모뎀칩셋 시장에서의 시장지배적 사업자인 퀄컴이 시장지배적 사업자 지위를 남용했다고 봤다. 모뎀칩셋 공급계약과 특허 라이선스 계약을 연계해 휴대폰 제조사에 특허 라이선스 계약 체결과 이행을 강제한 것은 불이익 강제행위로써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행위와 불공정거래행위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것이다.

 

또 경쟁 모뎀칩셋 제조사에게 퀄컴의 이동통신 표준필수특허에 대한 특허 라이선스 제공을 거절하거나 라이선스 범위를 제한한 것도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 행위 중 타당성 없는 조건을 제시해 다른 사업자의 활동을 방해한 행위에 해당한다고 결론 내렸다.

재판부는 "두 행위는 하나의 '휴대폰 단일 단계 라이선스 정책'을 구성한다" "퀄컴은 이 정책을 통해 경쟁 모뎀칩셋 제조사의 비용을 상승시키고 거래대상을 제한해 시장을 봉쇄함으로써 표준별 모뎀칩셋 시장에서의 시장지배적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휴대폰 제조사와의 특허 라이선스 계약에 포괄적 라이선스와 휴대폰 가격 기준 실시료, 크로스 그랜트(특허 라이선스를 주면서 상대방이 보유한 특허를 정당한 대가도 지급하지 않은 채 교차로 라이선스를 주도록 하는 것) 조건을 부가한 것은 불이익 강제에 의한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 행위로 보지 않았다.

 

재판부는 앞서 인정한 휴대폰 제조사에 특허 라이선스 계약 체결 등을 강제한 것과 표준필수특허 라이선스 제공을 거절하거나 범위를 제한한 것만으로도 공정위의 과징금 납부 명령은 정당하다고 봤다.

 

재판부는 "퀄컴이 휴대폰 제조사와의 특허 라이선스 계약에 포괄적 라이선스와 여러 조건 등을 부가한 것이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 행위로 인정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앞서 설명한 두 가지 위법한 행위로 산정한 과징금 납부명령의 위법성 판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밝혔다.

 

따라서 과징금 처분은 그대로 유지되고 공정위가 한 시정명령 10개 중 4개만 위법해 취소하라고 판시했다.

 

공정거래 소송은 공정위 처분의 적법여부를 신속히 판단하기 위해 서울고법이 1, 대법원이 2심을 맡는 2심제로 진행된다.

 

 

스피라TV 이원우 기자 spirra2w@naver.com

 

<저작권자  스피라티비 뉴스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 '아베 G20 이후, 반도체 소재 한국 수출 규제' file 스피라통신 2019.06.30 5881
64 화웨이, '5만6000개 특허' 들고 반격.. '무력 시위' file 스피라통신 2019.06.16 4290
63 청년고용장려금 바닥났다..추경도 '스톱' 내일부터 중단 file 스피라통신 2019.05.10 5379
62 노인복지 연령 65→70세, 신호탄 쏜 정부 file 스피라통신 2019.04.11 4913
61 가계부채 사상최대 1535조원 '소득보다 빚 빨리 증가' file 스피라통신 2019.02.23 5150
60 '삼성바이오' 투자자 속 타는데, 거래정지 기간 길어진다 file 스피라통신 2018.11.29 6403
59 KT 아현지사 화재, 서대문·마포·용산 인터넷·이동전화·카드결제 마비 file 스피라통신 2018.11.24 6324
58 허리숙인 삼성의 사과, 백혈병 투쟁 11년 종지부 file 스피라통신 2018.11.23 5880
57 삼성 바이오 22조 주식, 상폐될까? file 스피라통신 2018.11.20 8684
56 공정위, 현대 이어 삼성重 현장조사 착수, 조선사 '갑질' 근절 file 스피라통신 2018.11.13 6441
55 수능 당일 (15일), 은행영업 시간 오전 10시~오후 5시 file 스피라통신 2018.11.12 3095
54 정부 유가 급등에 서민 부담, 한시적 유류세 인하 file 스피라통신 2018.10.14 3224
53 전국 버스·택시 전국 공공요금 줄줄이 인상 file 스피라통신 2018.10.11 8051
52 휘발유 평균가 1천650원 돌파 '앞으로 더 오른다' file 스피라통신 2018.09.29 8033
51 '서울 집값이 미쳤다' 고삐 풀린 주택시장 file 스피라통신 2018.08.24 7570
50 10만원 이상 오른 ‘전기요금 폭탄’ 가구 전체 1.4% 불과 file 스피라통신 2018.08.23 6478
49 자동차업계 2분기 성적 저조, 3분기에도 신차 효과 없으면 힘들어 file 스피라통신 2018.08.19 7592
48 국민연금 폐지 청원 봇물 file 스피라통신 2018.08.12 8177
47 전력 검침일 한전 마음대로? 누진제 폭탄 '공정위' 고객 동의없는 불공정약관 file 스피라통신 2018.08.06 6012
46 최저임금 인상 논란 해법 신용카드 수수료 인하 거론, 카드업계는 반발 file 스피라통신 2018.07.17 6307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