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피라TV]

 

6666.jpg

<사진출처 : 경향신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16일(현지시간)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서명함으로써 전기차·배터리 분야에서 한국·일본·유럽 등 동맹국들에 피해를 입힌 것은 ‘미국 주도의 세계질서 유지’에 협력하려는 국가들에 찬물을 끼얹은 조치다. 통상 문제를 놓고 동맹국들끼리 갈등을 겪는 것은 흔한 일이지만, 이번 사안은 성격이 다르다. 중국의 패권 도전을 뿌리치기 위해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라는 명분을 내세워 동맹국들의 공조와 단결을 외쳤던 미국이 기꺼이 미국의 전략에 동참하겠다는 뜻을 보인 나라들에 등을 돌린 것이기 때문이다.

이번 일은 바이든 행정부의 세계전략과 명백히 배치되는 입법 조치다. ‘동맹국과 공조를 통해 세계 경제·안보 질서를 유지’한다는 미국의 세계전략에 대한 각국의 불신이 커질 수밖에 없다. 특히 한·미 동맹 강화를 대외정책의 최우선 순위로 내세우고 미국에 협력을 아끼지 않았던 윤석열 정부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한·미 동맹에 올인한 결과가 이것이냐’는 국내적 비판이 제기되면서 윤석열 정부도 정치적으로 상당한 타격을 입게 됐다.

바이든 행정부가 구상하는 세계전략의 핵심은 미국 주도의 세계질서에 도전하는 중국과 격차를 벌리는 것이다. 미국은 중국과 러시아를 ‘현상 변경 세력’으로 규정하고, 이들에 맞서 규범·규칙에 기반한 국제질서를 회복하려면 동맹국과의 공조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해왔다.

세계 패권은 한 나라에 힘이 집중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동맹국의 힘을 빌려 패권을 유지한다는 미국의 구상은 역사적으로 유례를 찾기 어려운 새로운 개념이다. 미국이 패권을 유지하는 것이 모든 동맹·우호국에 이익이 될 수 있다는 것이 확실해야만 가능한 전략이다. 바이든 행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와 달리 대중국 견제 동참을 강요하지 않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나라에 중국 견제로 얻어지는 이익을 공유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IRA 발효로 미국의 이 같은 약속은 깨졌다. 경제안보를 외치면서 실제로는 미국 이익을 위해 일방적 조치를 취해 바이든 행정부의 세계전략에 대한 불신을 키웠다. 결국 미국의 전략은 거창한 명분으로 포장한 ‘팍스 아메리카나’(미국 주도하의 평화)였음을 각국이 인식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IRA로 인한 파장과 동맹국들의 불만을 조기에 해소하지 못하면 미국의 세계전략에 구멍이 생길 수도 있다.

미국의 IRA 전격 발효는 윤석열 정부에도 커다란 시련이다. 윤석열 정부는 미국을 향한 일방적 정책이 위험하다는 지적에도 아랑곳없이 ‘한·미 포괄적 전략동맹 강화’를 내세워 바이든 행정부의 전략을 적극 지지하고 앞장서 동참했다. 정부 출범 열흘 만에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미관계를 안보동맹에서 ‘경제·기술 동맹’ 관계로 확대 발전시키기로 했다.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와 ‘칩4’로 불리는 반도체 공급망협의체에도 참여키로 했다. 현대자동차는 대규모 대미 투자를 약속했고 바이든 대통령은 “실망시키지 않겠다”고 했다.

그러나 미국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세계무역기구(WTO) 협정 위반 소지가 다분한 이번 조치를 ‘전광석화처럼’ 해치웠다. IRA에 따르면 전기차의 경우 북미 지역에서 조립된 차량에만 7500달러의 신차 보조금을 지급하기 때문에 전량 한국에서 생산되는 현대·기아차는 보조금을 받지 못해 미국 시장에서 경쟁력을 상실하게 된다. 배터리 소재·부품에서도 북미산이 일정 비율 이상 포함해야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어 중국 등에 의존하고 있는 국내 기업들의 타격이 불가피하다.

최근 미 의회를 통과한 반도체 지원법안에도 ‘인센티브를 받은 기업은 10년간 중국에 신규투자 금지’의 가드레일 조항이 포함돼 있어 중국 현지에 공장이 있는 한국 반도체 기업들의 불이익이 예상된다. 가치 동맹을 내세운 윤석열 정부는 서슴없이 국익을 선택한 미국의 조치에 당혹감과 위기감을 드러내고 있다. 정부는 국내 비판과 한·미 동맹에 미칠 파장 등을 우려하며 미국을 상대로 비공개적 항의와 전방위 설득에 나서고 있지만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전직 관료 출신 전문가는 “이번 조치는 의회 입법을 통해 이뤄진 것이어서 수정하려면 역시 입법 조치를 거쳐야 한다”면서 “미국의 선의를 전제로 하는 대외정책이 얼마나 위험한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지적했다.

 

스피라TV 박동혁기자 icsoft@naver.com

 

< 저작권자 ⓒ 스피라티비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49 윤 대통령이 쏜 중대선거구제에 야당 사실상 반대 file 이원우기자 2023.01.04 5208
748 日 수출규제에 '공세 전환'..상응 조치 검토 file 스피라통신 2019.07.04 5212
747 홍준표가 쏘아 올린 작은 공, 대구시 대형마트 의무휴일 평일 전환 전국확산 신호탄 되나? file 이원우기자 2022.12.21 5229
746 혀내두른 국회 직원들..'의안과 점거는 상상 이상' file 스피라통신 2019.04.27 5246
745 이명박 전 대통령 4대강 사업 직접 국토부에 지시 file 스피라통신 2018.07.04 5259
744 이재명 '지역화폐 바가지는 형사처벌·가맹점 박탈·세무조사 대상' file 스피라통신 2020.05.06 5270
743 황교안 '외국인 한국에 기여 없어..동일 임금은 불공정' file 스피라통신 2019.06.19 5278
742 홍준표 '나경원 원내대표 사퇴' VS 민경욱 '내부총질 말라' file 스피라통신 2019.09.14 5285
741 갈등 깊어진 여야..'재협상하자' vs '꿈도 꾸지마라' file 스피라통신 2019.06.25 5286
740 한국당-경호팀 충돌..몸싸움에 비명 난무, 병원 실려가기도 file 스피라통신 2019.04.26 5305
739 文 대통령, 위기의 순간 승부사 기질 유감없이 발휘해 file 스피라통신 2018.05.27 5310
738 김정은, 문재인 대통령 향해 '촉진자 아닌 당사자 돼야' file 스피라통신 2019.04.13 5324
737 한국당 해산 청원 논란…나경원 '北 개입' file 스피라통신 2019.05.02 5331
736 트럼프 대통령, 하노이서 '핵무기 美에 넘겨라' 요구 file 스피라통신 2019.03.30 5345
735 前 주한미군 정보요원 전두환, 광주 내려와 '사살명령' file 스피라통신 2019.05.13 5352
734 '차량에 부딪쳐 버리죠' 윤석열 집 앞서 협박 file 스피라통신 2019.04.26 5370
733 '文, 저딴게 대통령' 한국당 김준교 후보…‘짝’ 출연 이력 화제 file 스피라통신 2019.02.19 5371
732 北 매체 '김정은 위원장, 평양서 전용열차로 베트남行' file 스피라통신 2019.02.24 5372
731 여상규 '文대통령에게 고맙나'…윤석열 '부담된다' file 스피라통신 2019.07.08 5377
730 한미, 키리졸브·독수리훈련 종료 결정... '비핵화노력 뒷받침' file 스피라통신 2019.03.03 5393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46 Next
/ 46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