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294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피라TV]

 

 

국민대학교 학문적 양심을 생각하는 교수들 모임 사진.jpg

<국민대학교의 학문적 양심을 생각하는 교수들 시위 사진 출처:네이버>

 

국민대가 이달 1일 김건희 여사(사진)의 박사학위 논문 등이 재조사 결과 표절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결론 내린 것과 관련, 일부 교수들이 “관련된 회의 내용을 투명하게 공개하라”고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민대 일부 교수들은 7일 ‘국민대학교의 학문적 양심을 생각하는 교수들’ 명의로 낸 성명에서 “국민대는 김건희씨 논문 조사와 관련된 모든 위원회의 구성과 회의 내용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며 “국민적 비판을 겸허히 수용하고 조사 과정과 결과를 충분히 납득할 수 있게 설명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국민대가 취한 그간의 과정과 이달 1일 발표한 재조사 결과에 깊은 자괴감을 느끼며 국민대 학생과 동문들에게 한없이 죄송한 마음뿐”이라면서 “국민대의 이번 발표는 김건희씨 논문에 대한 일반 교수들의 학문적 견해와 국민의 일반적 상식에 크게 벗어난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국민대의 김 여사 논문 표절 의혹 조사 결과에 대해 학내 교수들 의견을 조사할 예정이다. 임홍재 국민대 총장과 교수회에도 학교 명예를 지키기 위해 적극 대응해달라고 요청했다.

 

앞서 국민대는 김 여사의 논문 4편과 관련한 부정 의혹 재조사 결과, 박사학위 논문을 포함한 3편은 연구부정 행위에 해당하지 않으며 나머지 학술지 게재 논문 1편은 검증 불가능하다고 발표한 바 있다.

 

앞서 김 여사의 논문은 한글 제목의 ‘회원 유지’를 영문으로 ‘member Yuji’로 표기해 부실 번역 비판을 받았다. 국민대는 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영문 표현을 포함한 완성도 및 인용에서 미흡한 점이 일부 있다”고 인정했지만, 규정상 연구부정 행위의 범위에 해당하진 않아 검증 대상이 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은 지난 6일 개인 SNS를 통해 “국민대 유지(yuji) 논문 사태도 논문이라 부르기도 민망한 함량 미달 잡문을 유지하는 것은 자칫 대학의 자율적 판단을 했다가 무서운 검찰 정권에 맞서게 될까봐 회피한 것”이라며 “교수들이 시중 농담성 잡문조차 걸러내지 못하는 정도로 연구윤리와 학자적 양심을 내팽개친 무책임의 극치를 보였다”고 비판했다.

 

한편, 구연상 숙명여대 기초교양학부 교수는 MBC라디오에 출연해 “(제가)2002년에 썼던 연구논문과 2007년에 작성된 김 여사의 박사학위 논문을 비교하면 2장 1절 부분이 100% 똑같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논문 분량으로는 3쪽 정도, 김 여사의 논문이 시작되는 첫 부분이 토씨 하나 틀리지 않고 똑같다”며 국민대가 김 여사 논문에 대해 ‘연구부정행위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것에 대해서는 “잘못된 판정”이라고 일축한 바 있다.

 

 

 

스피라TV 이원우 기자 spirra2w@naver.com

 

<저작권자 ⓒ 스피라티비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 비대면진료 업체 "복지부 시범사업은 과거로의 회귀" 사실상 사업 종료 선언

  2. '김혜경 법카 의혹' 참고인 조사 받은 40대 남성 극단적 선택

  3. 대장동 수사팀, '백현동 개발 특혜 의혹' 수사 착수

  4. 해경 北피살 공무원, 월북 증거 없다. 2년 전엔 월북이라더니...정권 바뀌니 뒤집힌 수사결과

  5. '인하대 사건' 가해자 선처 탄원 루머... 학생TF "엄벌 탄원 낼 것"

  6. 헌재 보이스피싱 이용된 계좌, 지급정지 합헌

  7. 헌재 '검수완박' 첫 변론, 민형배 탈당 두고 공방

  8. 법원 "MBC 허위사실 적시해 SBS 명예 훼손시켰다"

  9. 경찰,'유흥업소 마약 변사 사건' 공급책 등 마약사범 6명 검거

  10. 정명석 범죄 도운 JMS 2인자 정조은 등 2명 전격 구속

  11. '귀순 어민 강제 북송' 사건 핵심인물 김연철 전 통일부 장관 귀국, 검찰 소환 임박

  12. 헌법재판소, 대법원 판결 또 취소 두 최고 사법 기관 갈등 격화되나

  13. 대법원 '백내장 수술, 입원치료 일괄 인정 안돼' 거품 많던 백내장 실손보험금 확 줄어들 듯

  14. 검찰 '한동훈 독직폭행' 정진웅 무죄 선고에 불복, 대법 상고

  15. 북한 방사포 발사에 영화관람 하던 윤석열 대통령 "미사일에 준하지 않아", 당선인 시절과 달라진 안보관

  16. 국민대 교수들 '김건희 논문조사 과정 공개 요청'

  17. 비선 논란으로 번진 김건희 여사 행보 '김건희 리스크' 논란

  18. 불륜,폭행,양육비 미지급 '3악' 개그맨 A씨는 임성훈?

  19. '사적 채용' 논란 9급 행정요원 부친, 선관위원직 사의 표명

  20. 與 '검찰, 윤석열 장모 땅 투기 알고도 3년간 기소 안 해'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55 Next
/ 55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