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피라TV]

 

 

김연철 전 통일부 장관 사진.jpg

<김연철 전 통일부 장관 사진 출처:네이버>


2019년 11월 탈북어민 강제북송 사건 당시 통일부 장관이었던 김연철 전 장관이 26일 미국에서 귀국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이 강제북송 사건 전 과정을 세밀히 살피는 만큼 김 전 장관에 대한 조사 역시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당시 통일부는 탈북어민 2명의 귀순 의사 진정성이 없다고 판단, 북에 이들을 송환한다는 대북통지문을 보낸 바 있다.

 

법조계에 따르면, 개인적 사유를 이유로 미국으로 출국했던 김 전 장관은 26일 오후 귀국한 것으로 알려졌다. 탈북어민 강제북송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3부(부장검사 이준범)도 귀국 사실을 파악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인권단체들은 이번 사건이 재차 주목을 받게 되자 김 전 장관을 직권남용·직무유기·불법체포감금·범인도피 혐의 등으로 검찰에 고발했다.

 

앞서 김 전 장관은 사건 당시 탈북어민들의 귀순 의사가 진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했다고 국회에서 밝힌 바 있다. 어민 2명이 16명을 살해한 흉악범으로 조사된 만큼 국민의 생명을 우선시해 송환 조치를 했다는 설명도 했었다. 당시 통일부는 구체적으로 추방 결정에 따라 대북통지 등의 관련 절차를 맡아 진행했다. 어민들의 추방 및 선박 인계 입장을 북측에 통지한 날은 2019년 11월 5일이다.

 

김 전 장관은 같은 해 11월 15일 국회에 나가 북송 조치의 ‘컨트롤타워’를 청와대 국가안보실로 지목한 바 있다. 당시 김 전 장관은 “진술만으로 기소하기는 어려울 것” “증거가 모두 북쪽에 있는 상황에서 그게 가능하겠느냐”고도 했다. 탈북어민들의 범죄를 분명히 확인했지만, 형사사법체계를 통한 처벌이 어렵다고 판단한 점도 송환 조치의 한 요인이 됐었다는 설명이다.

 

법조계 일부 인사들은 강제 북송 조치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보였다. 우선 헌법상 우리 국민을 추방할 법적 근거란 없으며, 나아가 처벌의 여지가 없음을 예단하기도 어렵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지난 25일 국회에서 “대한민국은 흉악범을 법에 따라 처벌할 수 있는 시스템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 국민으로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귀순의 진정성을 종합 판단해야 한다는 것이 과거 정부의 설명이었지만, 법조계는 “북한으로 돌아가겠다고 주장하는 경우에만 예외적이고 인도적인 차원에서 송환한다”고 지적했다.

 

검찰은 김 전 장관의 조사 계획에 대해서는 밝히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다만 조만간 김 전 장관을 상대로 한 조사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검찰은 탈북어민 강제북송 사건 당시 합동조사에 관여한 국가정보원 관계자들을 참고인으로 조사했었다. 이어 당시 탈북어민 선박 추적·나포 과정을 아는 해군 장교들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다.

 

 

 

스피라TV 김준엽 기자 Junyub95@gmail.com

 

<저작권자 ⓒ 스피라티비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 '검사 먹일 돈 5천'...양진호 '검경 로비' 정황

    Date2019.02.19 By스피라통신 Views6357
    Read More
  2. '검찰수사권 축소' 담당 재판관도 한동훈 '검증 도장' 받아야 한다

    Date2022.05.29 By스피라통신 Views11681
    Read More
  3. '계곡 살인' 이은해, 도피 중 호화생활 증언 나왔다

    Date2022.08.09 By스피라TV통신 Views13413
    Read More
  4. '계곡살인' 이은해 2심도 불복, 대법원까지 간다.. 목적은 보험금?

    Date2023.05.02 By이원우기자 Views22210
    Read More
  5. '계곡살인' 이은해 전 남친들 의문사, 인천경찰이 조사

    Date2022.04.07 By스피라통신 Views9904
    Read More
  6. '계속되는 혐오, 정말 지친다' 들끓는 반중감정... 중국동포도 고충

    Date2021.04.02 By스피라통신 Views12648
    Read More
  7. '고영태'증인출석 막말공방

    Date2017.02.07 By운영자09 Views74
    Read More
  8. '공인중개사 사칭'논란 박종복 지우기 나선 방송사들

    Date2022.06.13 By스피라TV통신 Views12216
    Read More
  9. '구미 여아 사망' 40대 친모 '바꿔치기' 진실은?

    Date2021.03.12 By스피라통신 Views11735
    Read More
  10. '국정원 댓글 수사 방해' 김병찬 용산서장 검찰 소환

    Date2017.11.28 ByJUNE Views6025
    Read More
  11. '권력형 비리' 강조한 윤석열... 임은정 '검찰도 엄벌하길'

    Date2020.08.04 By스피라통신 Views15656
    Read More
  12. '귀순 어민 강제 북송' 사건 핵심인물 김연철 전 통일부 장관 귀국, 검찰 소환 임박

    Date2022.07.27 By스피라TV통신 Views13160
    Read More
  13. '그것이 알고싶다' 효성그룹 조현준 사장 비자금 의혹 제기

    Date2015.09.13 By스피라TVPOLABEAR Views251
    Read More
  14. '그대여, 아무 걱정하지 말아요'

    Date2018.01.01 ByJUNE Views4125
    Read More
  15. '기권해서 살았다'... 중국 산악마라톤 중 21명 사망 참사

    Date2021.05.23 By스피라통신 Views9487
    Read More
  16. '김건희 주가 조작 내사 보고서' 언론에 유출한 경찰관에 중징계 '강등' 의결

    Date2022.05.05 By스피라통신 Views12520
    Read More
  17. '김구 살인자' 발언 노재승 '국밥 늦게 나왔다고 살인' 역사적 사료도 있다'

    Date2021.12.08 By스피라통신 Views12468
    Read More
  18. '김기덕 감독' 본인이 피해자, 여배우와 제작진 고소

    Date2018.06.04 By스피라통신 Views5005
    Read More
  19. '김명수' 대법원장 차량에 화염병 투척한 70대 검거

    Date2018.11.27 By스피라통신 Views6319
    Read More
  20. '김밥 사먹은 사람들 난리 났다' 성남·고양 이어 파주서도 '김밥 식중독'

    Date2021.08.27 By스피라통신 Views875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5 Next
/ 55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