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피라TV]
 

666.jpg

<사진출처 : hankookilbo>
 

 

윤석열 대통령은 8일 '검찰 편중' 인사 지적에 대해 "과거에 민변(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출신들이 아주 (요직을) 도배하지 않았느냐"고 밝혔다.

 

문재인 정부에서 민변 출신 인사들이 대거 공직에 기용된 사례를 들어 현 정부 인선 기조에 대한 비판을 반박한 것. 그러나 검찰 편중 비판은 "검찰이란 좁은 인재풀에서 자신과 가까운 사람만 쓴다"는 게 핵심이다. 눈과 귀를 닫은 채 전 정부 사례를 거론하며 자기합리화를 하는 것은 또 다른 '내로남불'인 셈이다.

 

尹 "미국은 법조인 폭넓게 진출, 그게 법치국가"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 출근길에 '(정부의) 인재풀 자체가 너무 적은 게 아니냐'는 취재진에게 "미국 같은 나라를 보면 '거버먼트 어토니(government attorney·정부 측 법조인)' 경험 가진 분들이 정·관계에 아주 폭넓게 진출하고 있다. 그게 법치국가 아니겠나"라고 했다.

 

미국 사례로 검찰 편중 인사에 대한 비판 자체를 일축한 것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미국과 제도가 너무 달라 비교하긴 어려운데, 변호사 경력을 가진 사람 가운데 정부에서 일하는 사람이 많다는 뜻"이라고 부연했다.

 

검사 시절 '윤석열 사단'의 막내인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임명에 대한 우려도 일축했다. 윤 대통령은 "금감원과 공정거래위원장 같은 경우에는 규제기관이고 적법 절차에 따라 법 기준을 갖고 예측 가능하게 일해야 한다"며 "법 집행을 다루는 능력을 가진 사람들이 역량을 발휘하는 데 아주 적절한 자리라고 늘 생각해왔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복현 금감원장은 경험 많은 전문가라고 보기 때문에 적임자"라고 덧붙였다.

 

'민변이 정부 장악' 비판하더니… 논리 답습

 

정권 출범 후 특정 세력이 요직을 다수 차지하는 것은 우리 정치의 고질이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했던 2017년 말 기준 청와대 비서실 소속 비서관 31명 중 17명(54%)이 민변과 참여연대를 비롯한 시민단체 출신이었다. 이에 국민의힘을 비롯한 보수진영에선 문재인 정부를 겨냥해 '민변 공화국'이라고 비판해 왔다.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민변 도배' 발언에 대해 "윤 대통령이 (전 정부와) 다르게 하면 되는 것이지 '전 정부가 이렇게 했으니 나도 하겠다'는 것이 얼마나 일차원적인 접근이냐"라고 직격했다. 야당에서는 윤석열 정부에서 '검찰 공화국'이 현실화하고 있다는 우려가 크다.

 

윤 대통령이 밝힌 '미국 사례'가 적절치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미국 검찰은 수사와 기소 외에도 일반적인 법무 업무를 수행하는 법무부 공무원에 가깝다. 반면 한국의 검찰, 특히 윤 대통령이 요직에 발탁한 '특수부 검사'는 수사 업무에 특화한 이들이다. 검찰 출신 전직 의원은 "어느 나라나 법률가가 정부에서 일하는 경우는 많지만, 이번 논란은 윤 대통령과 개인적 인연이 있는 사람이 대거 등용됐다는 게 핵심"이라고 짚었다.

법무 업무와 거리가 먼 국무총리 비서실장에도 검찰 출신을 앉힌 것은 대표적 사례다.

 

윤 대통령 인사 기조, 당분간 '마이웨이'?

 

이러한 비판에도 윤 대통령은 당분간 마이웨이 하겠다는 뜻을 시사했다. '검찰 편중 인사라는 지적으로 강수진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공정거래위원장 후보군에서 제외했느냐'는 질문에 윤 대통령이 "전혀 아니다"고 밝히면서다.

 

대통령실도 윤 대통령에게 보조를 맞추고 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검찰 공화국은 야권의 프레임"이라며 "지난 정부에서 켜켜이 쌓여 온 무사안일주의를 개혁할 인재를 쓸 뿐"이라고 주장했다.

 

 

 

스피라TV 박동혁기자 icsoft@naver.com
 
< 저작권자 ⓒ 스피라티비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09 희생자 호명 사진 배경에 놓고 떡볶이 먹방하며 희희낙락 '더탐사' 진정으로 희생자들을 위한 것인가 file 이원우기자 2022.11.15 11383
908 후쿠시마 오염수 '처리반대' vs '괴담' 팽팽한 여야 줄다리기 file 엽기자 2023.06.23 6826
907 후지TV 막말 '문재인 탄핵이 해법' file 스피라통신 2019.07.19 5804
906 황교안, 과잉 의전 비판에... '당신은 더 심했다' 역풍 file 스피라통신 2021.08.30 11433
905 황교안 축구장 유세 처벌?..선관위 '경미한 사안..행정조치' file 스피라통신 2019.04.02 4955
904 황교안 '외국인 한국에 기여 없어..동일 임금은 불공정' file 스피라통신 2019.06.19 5278
903 환노위 국민의힘 퇴장한 가운데, '노란봉투법' 국회 본회의 직회부 의결 file 이원우기자 2023.05.24 3440
902 화천대유 대주주 경찰 출석... '곽상도 아들, 산재로 50억' file 스피라통신 2021.09.27 9657
901 화물연대 파업에 소주, 맥주 사라질 판 file 스피라TV통신 2022.06.06 12879
900 화물연대 인권위에 업무개시명령 철회 권고 의견 내달라지만...업무개시명령 발동에 호응 하는 국민들 윤 대통령 지지율 상승세 file 이원우기자 2022.12.05 9964
899 홍준표가 쏘아 올린 작은 공, 대구시 대형마트 의무휴일 평일 전환 전국확산 신호탄 되나? file 이원우기자 2022.12.21 5229
898 홍준표, 한동훈 겨냥해 "특검 준비나 해라" file 김성은기자 2024.04.15 189
897 홍준표, 광복절 특사에 '사면은 이벤트, 검찰 잣대 밋밋' file 스피라통신 2022.08.13 11453
896 홍준표, "영부인이 정치 주인공된 사례 없었다" 윤 대통령과 김건희에 동시 경고 file 스피라TV통신 2022.07.22 12458
895 홍준표 “순위조작 가능한 포털 댓글제도, 법으로 바꾸겠다” JUNE 2018.04.23 6158
894 홍준표 '나경원 원내대표 사퇴' VS 민경욱 '내부총질 말라' file 스피라통신 2019.09.14 5285
893 홍준표 'MBN 출입금지, '진주의료원 폐업' 맥락서 추진' file JUNE 2018.02.04 6128
892 홍준표 "난 김경수도 용서" 윤 대통령에 김경수 사면 촉구 file 스피라TV통신 2022.08.11 12928
891 홍익표 의원 '현 국회의원 전원 불출마 전제로 국회해산해야' file 스피라통신 2018.05.08 3112
890 홍익표 원내대표 "이번 국감 폭주하는 윤 정부에 맞설 유일한 수단", 끝내 국방위 국감 파행 file 엽기자 2023.10.10 1906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6 Next
/ 46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