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피라TV]
 

66.jpg

<사진출처 : 동아일보>
 

 

파산설이 돌고 있는 중국 부동산 개발 회사 헝다(恒大)그룹이 채권 이자 지급일을 하루 앞두고 일부 채권에 대한 이자를 제때 지급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파산설은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다. 제때 내겠다고 한 이자액이 전체의 절반에도 못 미치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가 헝다그룹을 지원하지 않을 것이라는 신용평가 회사의 전망도 파산설을 키우고 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헝다그룹은 22일 성명을 내고 위안화 채권에 대한 이자를 23일 제때 지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23일 지급해야 하는 위안화 채권 이자는 약 425억 원이다. 하지만 헝다는 역시 같은 날 지급해야 하는 달러화 채권 이자 약 993억 원 지급 여부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았다. 블룸버그통신은 “헝다가 분명치 않은 성명 발표로 시장에 새로운 불안을 줬다”고 지적했다

전체 빚이 3000억 달러(약 355조 원)에 이르는 헝다 파산설 여파가 세계 증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국 뉴욕 증시에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21일(현지 시간)까지 4거래일 연속 떨어졌다. 이 기간 하락률은 2.57%에 이른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도 4거래일 연속 2.82% 급락했다. 일본도 ‘헝다 쇼크’로 닛케이평균주가가 3만 선 아래로 떨어졌다. 21일 닛케이평균주가는 전 거래일(17일)보다 2.17% 하락한 2만9839.71엔으로 거래를 마쳤다. 닛케이평균주가 3만 선이 무너진 건 이달 7일에 이어 2주 만으로, 하락 폭은 최근 3개월 사이에 가장 컸다. 22일에도 전날보다 0.67% 떨어진 채 마감해 약세를 이어갔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헝다의 채무 문제를 둘러싸고 운용 리스크를 회피하려는 매도가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추석 연휴를 끝내고 22일 개장한 상하이 증시는 0.4% 올랐다. 상하이 증시는 헝다 파산설이 확산하던 14일부터 3거래일 연속 하락했다가 추석 연휴 전 마지막 거래일인 17일 0.19% 상승했었다.

블룸버그는 소식통을 인용해 헝다가 적어도 2곳의 은행에 20일까지 지급했어야 할 대출 이자를 갚지 못했다고 전했다. 앞서 블룸버그는 중국 당국이 주요 은행들과의 회의에서 헝다가 20일까지 대출 이자를 갚지 못할 것으로 판단했다고 전한 바 있다. 업계에서는 헝다가 이미 협력업체 여러 곳에 지불해야 할 공사 대금을 제때 주지 못하는 등 유동성 위기가 심각한 점 등을 들어 결국 채무불이행(디폴트) 상황을 피하기 아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헝다그룹의 총 부채는 지난해 말 기준 약 2960억 달러(약 351조 원)였지만 그 사이 더 증가해 현재 3000억 달러(약 355조 원)까지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부채 규모만 놓고 볼 때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2%에 달한다. 여기에 헝다그룹에 속한 직원이 20만 명이고, 헝다그룹이 진행하는 부동산 개발에서 계약금 등을 지불하고 선분양권을 받은 사람이 150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일부에서는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를 초래한 미국 ‘리먼브러더스 사태’가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 세계에서 사실상 빚이 가장 많은 부동산 업체가 파산하면 돈을 빌려준 금융기관이한 관련 업체의 연쇄 도산이 벌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중국 정부가 헝다그룹에 대한 직접 지원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S&P는 “중국 당국은 중국 금융권이 큰 혼란 없이 헝다그룹의 부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내부 결론을 내 놓은 상태”라고 전했다. 현재 헝다의 대출 규모는 중국 내 은행 대출 총액의 0.3% 수준으로 디폴트가 현실화하면 은행권의 부실채권 비율이 올라가겠지만 당국이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이라는 것이다.

S&P는 또 “헝다는 대마불사(too big to fail) 논란을 부를 만큼 큰 기업이 아니다”며 “사업 본거지인 광둥성의 지역 경제 안에서도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블룸버그통신은 “S&P는 헝다가 디폴트를 피할 수 없을 것이고 중국 정부가 직접적으로는 어떤 지원도 하지 않을 것이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냈다”고 전했다. 또 중국 정부는 신용 리스크가 광범위하게 확산 되는 등 국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면 (헝다 사태에) 개입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했다고 전했다.

헝다그룹이 파산하더라도 리먼 사태와 같은 국제 금융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보는 것도 이런 전망 때문이다. 중국 정부가 이미 헝다그룹 파산 이후 상황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끝내고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직접적인 지원은 하지 않기로 했다는 것이다. 중국 관영매체 환추시보 후시진 편집장도 앞서 17일 “기업은 반드시 시장 방식의 자구 능력을 갖춰야 한다”면서 “대마불사의 요행을 바라지 말라”고 언급한 바 있다.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22일 간부회의를 열고 “현재로서는 헝다그룹 문제가 글로벌 금융시장의 시스템 리스크로 확산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는 게 다수 전문가의 견해”라면서도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했다. 고 위원장은 “내일(23일) 있을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등 글로벌 긴축 기조 움직임과 함께 과열된 글로벌 자산 시장이 조정되는 과정에서 관련 리스크가 확대될 수 있는 만큼 관련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피라TV 박동혁기자 icsoft@naver.com
 
< 저작권자 ⓒ 스피라티비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5 비트코인, 5월에만 36% 폭락... 10년만에 최악 file 스피라통신 2021.05.30 9860
124 비트코인 투자, 日서도 열풍… 신조어 ‘오쿠리비토’ 등장 JUNE 2018.01.07 5278
» 부채 355조원 中헝다, 내일 '운명의 날'... 파산땐 세계금융 '쇼크' file 스피라통신 2021.09.23 9772
122 벼락거지 면하려다 1년치 연봉 다 날렸다.. 2030 '패닉' file 스피라통신 2021.05.21 12872
121 배우 김희애, 주차장 재테크 '시세 250억' 재벌 file 스피라통신 2018.07.03 4878
120 민희진-방시혁 갈등…어도어 "방시혁, 뉴진스 카피" 반격 file 김성은기자 2024.04.22 1005
119 미중 무역협상, 다급한 트럼프 vs 느긋한 시진핑 file 스피라통신 2019.08.27 5405
118 미 대선 트럼프 우세에 코스피 1940선,코스닥 590선마저 폭락 file 스피라TV조아라기자 2016.11.09 7475
117 미 '화웨이에 반도체 못 줘' vs 중 '애플에 보복할 것' file 스피라통신 2020.05.16 8246
116 문 대통령 부동산 시장 안정에 대한 강한 의지 file 최고운영자 2017.08.18 25
115 막내리는 공인인증서 시대... 은행거래 어떻게 달라지나 file 스피라통신 2020.12.10 9512
114 루나 결국 5대 거래소 모두 퇴출. 사실상 상장 폐지 file 스피라TV통신 2022.05.25 11723
113 라연·가온, 한국 첫 미슐랭 3스타 file 스피라TV조아라기자 2016.11.07 61
112 두나무 영업이익, 순이익 작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반토막 file 스피라TV통신 2022.05.31 8749
111 도요타 'Fun To Drive' 신차 GR86 출시! file 스피라TV통신 2022.05.16 11273
110 도로 위 늘어난 SUV 택시 file 김성은기자 2024.04.24 330
109 대형마트 월 2회 휴무에도 소비자 '전통시장 안 갔다.' file 스피라TV통신 2022.06.14 12412
108 대출 걸어잠그는 은행... 하나·신한·국민, 신규 중단 file 스피라통신 2020.12.22 11389
107 대장균 초과 검출 요거트…식약처, 판매중단·회수 조치 file 김성은기자 2024.04.19 416
106 대법원 '이동통신 특허 갑질' 퀄컴에 1조 300억원 역대 최대 규모 과징금 확정 file 이원우기자 2023.04.13 2621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