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연치 않은 김웅 해명, 당직자 사퇴설... '고소 사주 의혹' 尹 사면초가

by 스피라통신 posted Sep 05, 20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스피라TV]
 

44.jpg

<사진출처 : 세계일보>
 

윤석열 전 검찰총장 시절 검찰이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에 범여권 인사 고발을 사주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국민의힘 내부에 우려가 커지고 있다.

 

김웅 의원의 석연치 않은 해명과 ‘손준성 검사의 청탁 고발장이 국민의힘 당직자를 거쳐 윗선으로 전달됐는데 해당 당직자가 최근 사직했다’는 소문까지 퍼지며 “사실무근이라고 일축하기에는 정황이 간단치 않다”는 우려가 나온다. 윤석열 후보가 본선 경쟁력이 강한 대세 후보가 맞는지, 앞으로 더 거세질 네거티브를 견딜 체급인지 등을 이번 기회에 검증해야 한다는 기류가 강해지고 있다.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는 5일 방송 인터뷰에서 윤 후보의 고발 사주 의혹과 관련해 “기본적으로 (당 공식기구인 법률자문위원회에) 공식 접수된 바는 없고 회의에서 거론된 적도 없다는 것까지는 제가 확인했다”며 “윤 후보가 연루를 강하게 부인하고 있고 실제로 윤 후보의 개입을 특정할 만한 증거도 나오지 않았다. 해당 내용을 보도한 언론이 추가 자료를 갖고 연관성을 만들어내지 못하는 한 윤 후보가 이에 대응할 상황이 아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결국 이건 생산자 측으로 지목된 검찰에서 내부 감찰을 통해 빨리 결론 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당내에선 위기감이 감지된다. 손 검사로부터 청탁 고발장을 받아 당에 전달한 것으로 지목된 김 의원은 지난 2일 입장문을 내고 “당시 의원실에는 수많은 제보가 있었고 제보받은 자료는 당연히 당 법률지원단에 전달했다”며 사실상 전달한 사실을 인정했다. 지난 총선 때 김 의원은 현역 의원이 아니라 원외 송파갑 후보였다. 김 의원과 손 검사는 사법연수원 동기(29기)다. 통상 정치인들이 정치적 파장이 큰 사안에 대해 “기억나지 않는다”며 회피하는 것과 달리, 김 의원이 전달 사실을 인정한 데는 그에게 제시한 구체적 증거와 정황이 뚜렷해 부인하지 못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이날 국민의힘에는 청탁 고발장 전달에 개입했다고 알려진 ‘당직자 사퇴설’이 나돌기도 했다. 김 의원이 한 당직자에게 문건을 전달했고 해당 당직자가 당시 법률지원단장인 정점식 의원에게 이를 전달했는데, 청탁 고발 건이 불거지자 해당 인물이 당을 떠났다는 소문이다.

 

김 의원의 애매한 해명과 함께 의심스러운 정황이 제시되며 청탁 고발장이 당에 전달된 것까지는 기정사실로 된 분위기다. 윤 후보의 개입 근거가 드러나지 않더라도 검찰총장에게 직보하는 대검 수사정보정책관의 특성상 당시 검찰총장이었던 윤 후보의 개입 의혹 공세가 거세질 수밖에 없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이러한 의혹에 대해 적극 방어하기보다는 이 대표가 당무 감사를 언급하는 등 거리를 두는 분위기다. 현안 질의를 위한 6일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 개최에도 동의한 상태다.

 

국민의힘 지도부 관계자는 통화에서 “대선을 앞두고 있는 만큼 윤 후보의 청탁 고발 의혹은 MB(이명박 전 대통령) 때 ‘다스 의혹’처럼 본선 끝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데, 윤 후보가 이를 돌파할 저력이 있는지 이참에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당내 대선주자들은 맹폭을 가하며 견제에 나섰다. 홍준표 후보는 이날 페이스북에서 윤 후보를 향해 “곧 드러날 일을 공작정치 운운으로 대응하는 것은 기존 정치인들이 통상 하는 무조건 부인하고 보자는 배 째라식 후안무치 대응”이라며 “대국민 사과를 하라”고 촉구했다. 장성민 후보도 “윤석열 리스크가 정권교체 리스크가 되어선 안 된다.

 

야권은 최적의 정권교체 타이밍을 맞았지만 최악의 후보에 붙잡혀 새로운 길을 개척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스피라TV 박동혁기자 icsoft@naver.com
 
< 저작권자 ⓒ 스피라티비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rticles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