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피라TV]
 

44.jpg

<사진출처 : 한국일보>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이 신도시 예정지에서 사들인 땅은 원래 관리 안 되는 논 또는 작물을 심지 않은 전답, 쓰레기처리장 등이었다.

 

국민적 공분을 사고 있는 LH 직원들의 땅 투기 의혹은, 매입 전 촬영된 해당 토지의 위성사진과 최근 드론으로 촬영한 사진을 비교해 보면 더욱 짙어진다. 개발에 따른 시세 차익을 넘어 이전 보상금을 극대화하기 위해 버려지다시피한 땅을 사들인 후 각종 묘목을 심은 정황이 두 장의 비교 사진 속에서 명확하게 드러난다.

 

LH 직원이 지난 2019년 6월 3일 매입한 6,735㎡ 넓이의 경기 시흥시 과림동 농지에는 현재 검은 비닐이 씌워진 채 유실수 묘목이 빼곡하게 심겨 있다. 주변 고물상에 둘러싸인 이 땅은 2018년 촬영된 카카오맵 위성사진 속에서는 관리가 거의 안 되고 있는 논이었다. 벼로 추정되는 작물이 불규칙하게 널려 있고, 반 이상이 주저앉은 듯한 모습은 논인지조차 의심스러울 정도다. 유실수가 심긴 농지의 경우 이전보상비를 더 많이 받을 수 있는 점을 노리고 논을 사들여 묘목을 심은 것으로 추정된다.

 

LH 직원 소유로 확인되지는 않았으나, 해당 농지 바로 옆 고물상 부지 또한 유실수 묘목 밭으로 탈바꿈한 것으로 보아 신도시 예정지 내에서 이와 같은 편법 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LH 직원이 지난해 2월 27일 매입한 과림동의 또 다른 토지 역시 2018년 당시 스티로폼 등이 쌓인 쓰레기 처리장이었지만 지금은 검은 비닐이 덮이고 묘목이 가지런히 심겨 있다. 토지를 매입한 후 유실수를 심기 위해 쓰레기 처리장과 주변의 나무까지 밀어 버린 것으로 보인다.

 

야산과 학교 주변 자투리 땅마저 투기에 이용한 흔적도 위성사진으로 확인됐다. LH 직원이 2018년 4월 19일 매입한 넓이 5,905㎡의 무지내동 땅은 위성사진이 촬영된 2016년 당시 전체의 10분의 1 정도만 경작이 이루어지고 나머지는 비어 있었다. 그러나 현재는 다양한 수종의 묘목이 심겨 있다. 그 사이 해당 토지 주변의 야산이나 야적장 등은 전혀 변화가 없었다.

 

LH 직원들로 시작된 신도시 투기 의혹은 공직사회까지 번지고 있다. 10일 광명시청은 직원 1,500명에 대한 자체 전수조사 결과, 소속 공무원 6명이 지난해 신도시 발표 전에 토지를 미리 매입한 사실을 확인했다.

 

광명시 공무원이 지난해 취득한 광명시 노온사동 농지의 경우 원래 비닐하우스 경작지의 일부였으나 매입 후 유실수를 심기 위해 비닐하우스가 자취를 감췄다. 10일 광명시의 발표 직후 찾아간 해당 토지에선 인부가 묘목을 심기 위한 준비작업을 하고 있었다.

 

또 다른 공무원이 지난해 취득한 가학동의 임야 역시 울창했던 나무가 사라지고 맨땅이 드러나 있었다.

 

투기 목적으로 공터를 사들여 건물을 지은 경우도 있다. 해당 시의원은 과림동의 한 쓰레기처리장 부지 임야를 자녀 명의로 매입한 뒤 2층 건물을 지었는데, 누가 봐도 쓰레기장 바로 옆에 주택을 신축하는 것이 상식적이지 않다.

 

LH 임직원들이 2017년 8월부터 지난해 2월까지 광명·시흥 신도시 예정지에서 사들인 토지는 2만3,000여㎡ 규모. 이 땅에는 현재 사과, 배나무 같은 유실수와 측백, 편백나무 등 희귀수종, 버드나무 묘목 등이 심겨 있다.

 

여기에 더해 해당 지역 지자체 공무원들까지 비슷한 투기 수법을 동원한 의혹이 불거지면서 국민적 지탄을 넘어 철저한 수사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스피라TV 박동혁기자 icsoft@naver.com
 
< 저작권자 ⓒ 스피라티비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 '아베 G20 이후, 반도체 소재 한국 수출 규제' file 스피라통신 2019.06.30 5881
64 화웨이, '5만6000개 특허' 들고 반격.. '무력 시위' file 스피라통신 2019.06.16 4290
63 청년고용장려금 바닥났다..추경도 '스톱' 내일부터 중단 file 스피라통신 2019.05.10 5379
62 노인복지 연령 65→70세, 신호탄 쏜 정부 file 스피라통신 2019.04.11 4913
61 가계부채 사상최대 1535조원 '소득보다 빚 빨리 증가' file 스피라통신 2019.02.23 5150
60 '삼성바이오' 투자자 속 타는데, 거래정지 기간 길어진다 file 스피라통신 2018.11.29 6403
59 KT 아현지사 화재, 서대문·마포·용산 인터넷·이동전화·카드결제 마비 file 스피라통신 2018.11.24 6324
58 허리숙인 삼성의 사과, 백혈병 투쟁 11년 종지부 file 스피라통신 2018.11.23 5880
57 삼성 바이오 22조 주식, 상폐될까? file 스피라통신 2018.11.20 8684
56 공정위, 현대 이어 삼성重 현장조사 착수, 조선사 '갑질' 근절 file 스피라통신 2018.11.13 6441
55 수능 당일 (15일), 은행영업 시간 오전 10시~오후 5시 file 스피라통신 2018.11.12 3095
54 정부 유가 급등에 서민 부담, 한시적 유류세 인하 file 스피라통신 2018.10.14 3224
53 전국 버스·택시 전국 공공요금 줄줄이 인상 file 스피라통신 2018.10.11 8051
52 휘발유 평균가 1천650원 돌파 '앞으로 더 오른다' file 스피라통신 2018.09.29 8033
51 '서울 집값이 미쳤다' 고삐 풀린 주택시장 file 스피라통신 2018.08.24 7570
50 10만원 이상 오른 ‘전기요금 폭탄’ 가구 전체 1.4% 불과 file 스피라통신 2018.08.23 6478
49 자동차업계 2분기 성적 저조, 3분기에도 신차 효과 없으면 힘들어 file 스피라통신 2018.08.19 7592
48 국민연금 폐지 청원 봇물 file 스피라통신 2018.08.12 8177
47 전력 검침일 한전 마음대로? 누진제 폭탄 '공정위' 고객 동의없는 불공정약관 file 스피라통신 2018.08.06 6012
46 최저임금 인상 논란 해법 신용카드 수수료 인하 거론, 카드업계는 반발 file 스피라통신 2018.07.17 6307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