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피라TV]
 

44.jpg

<사진출처 : 한국일보>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이 신도시 예정지에서 사들인 땅은 원래 관리 안 되는 논 또는 작물을 심지 않은 전답, 쓰레기처리장 등이었다.

 

국민적 공분을 사고 있는 LH 직원들의 땅 투기 의혹은, 매입 전 촬영된 해당 토지의 위성사진과 최근 드론으로 촬영한 사진을 비교해 보면 더욱 짙어진다. 개발에 따른 시세 차익을 넘어 이전 보상금을 극대화하기 위해 버려지다시피한 땅을 사들인 후 각종 묘목을 심은 정황이 두 장의 비교 사진 속에서 명확하게 드러난다.

 

LH 직원이 지난 2019년 6월 3일 매입한 6,735㎡ 넓이의 경기 시흥시 과림동 농지에는 현재 검은 비닐이 씌워진 채 유실수 묘목이 빼곡하게 심겨 있다. 주변 고물상에 둘러싸인 이 땅은 2018년 촬영된 카카오맵 위성사진 속에서는 관리가 거의 안 되고 있는 논이었다. 벼로 추정되는 작물이 불규칙하게 널려 있고, 반 이상이 주저앉은 듯한 모습은 논인지조차 의심스러울 정도다. 유실수가 심긴 농지의 경우 이전보상비를 더 많이 받을 수 있는 점을 노리고 논을 사들여 묘목을 심은 것으로 추정된다.

 

LH 직원 소유로 확인되지는 않았으나, 해당 농지 바로 옆 고물상 부지 또한 유실수 묘목 밭으로 탈바꿈한 것으로 보아 신도시 예정지 내에서 이와 같은 편법 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LH 직원이 지난해 2월 27일 매입한 과림동의 또 다른 토지 역시 2018년 당시 스티로폼 등이 쌓인 쓰레기 처리장이었지만 지금은 검은 비닐이 덮이고 묘목이 가지런히 심겨 있다. 토지를 매입한 후 유실수를 심기 위해 쓰레기 처리장과 주변의 나무까지 밀어 버린 것으로 보인다.

 

야산과 학교 주변 자투리 땅마저 투기에 이용한 흔적도 위성사진으로 확인됐다. LH 직원이 2018년 4월 19일 매입한 넓이 5,905㎡의 무지내동 땅은 위성사진이 촬영된 2016년 당시 전체의 10분의 1 정도만 경작이 이루어지고 나머지는 비어 있었다. 그러나 현재는 다양한 수종의 묘목이 심겨 있다. 그 사이 해당 토지 주변의 야산이나 야적장 등은 전혀 변화가 없었다.

 

LH 직원들로 시작된 신도시 투기 의혹은 공직사회까지 번지고 있다. 10일 광명시청은 직원 1,500명에 대한 자체 전수조사 결과, 소속 공무원 6명이 지난해 신도시 발표 전에 토지를 미리 매입한 사실을 확인했다.

 

광명시 공무원이 지난해 취득한 광명시 노온사동 농지의 경우 원래 비닐하우스 경작지의 일부였으나 매입 후 유실수를 심기 위해 비닐하우스가 자취를 감췄다. 10일 광명시의 발표 직후 찾아간 해당 토지에선 인부가 묘목을 심기 위한 준비작업을 하고 있었다.

 

또 다른 공무원이 지난해 취득한 가학동의 임야 역시 울창했던 나무가 사라지고 맨땅이 드러나 있었다.

 

투기 목적으로 공터를 사들여 건물을 지은 경우도 있다. 해당 시의원은 과림동의 한 쓰레기처리장 부지 임야를 자녀 명의로 매입한 뒤 2층 건물을 지었는데, 누가 봐도 쓰레기장 바로 옆에 주택을 신축하는 것이 상식적이지 않다.

 

LH 임직원들이 2017년 8월부터 지난해 2월까지 광명·시흥 신도시 예정지에서 사들인 토지는 2만3,000여㎡ 규모. 이 땅에는 현재 사과, 배나무 같은 유실수와 측백, 편백나무 등 희귀수종, 버드나무 묘목 등이 심겨 있다.

 

여기에 더해 해당 지역 지자체 공무원들까지 비슷한 투기 수법을 동원한 의혹이 불거지면서 국민적 지탄을 넘어 철저한 수사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스피라TV 박동혁기자 icsoft@naver.com
 
< 저작권자 ⓒ 스피라티비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5 '삼성바이오' 투자자 속 타는데, 거래정지 기간 길어진다 file 스피라통신 2018.11.29 6403
124 KT 아현지사 화재, 서대문·마포·용산 인터넷·이동전화·카드결제 마비 file 스피라통신 2018.11.24 6324
123 최저임금 인상 논란 해법 신용카드 수수료 인하 거론, 카드업계는 반발 file 스피라통신 2018.07.17 6307
122 '디즈니' 79조원에 폭스 인수 file 스피라통신 2018.06.21 6281
121 관세폭탄 터질까 위기의 '車산업' 85만대 수출 타격 우려되 file 스피라통신 2018.06.26 6273
120 전국 아파트 매매·전셋값 동반하락···과천 매매 36주 만에 내려 스피라기자 2018.06.07 6269
119 ‘보복관세 반대’ 미 경제위원장 사임…트럼프 정부 최악갈등 JUNE 2018.03.07 6165
118 전력 검침일 한전 마음대로? 누진제 폭탄 '공정위' 고객 동의없는 불공정약관 file 스피라통신 2018.08.06 6012
117 '아베 G20 이후, 반도체 소재 한국 수출 규제' file 스피라통신 2019.06.30 5881
116 허리숙인 삼성의 사과, 백혈병 투쟁 11년 종지부 file 스피라통신 2018.11.23 5879
115 '작은 주택' 가격이 치솟고있다 file 스피라통신 2018.05.27 5586
114 '한국인 인기여행지가 바뀌었다' 日관광업계 '비명'에 언론도 주시 file 스피라통신 2019.09.06 5516
113 유승준 입국허가 반대 국민청원, 하루 안 돼 6만 명 넘어 file 스피라통신 2019.07.12 5484
112 미중 무역협상, 다급한 트럼프 vs 느긋한 시진핑 file 스피라통신 2019.08.27 5409
111 이벤트업계 비상대책위 구성, '행사취소 1만건, 1조3000억 피해' file 스피라통신 2020.04.08 5382
110 청년고용장려금 바닥났다..추경도 '스톱' 내일부터 중단 file 스피라통신 2019.05.10 5379
109 '조선일보는 대한민국 언론이길 포기했나' file 스피라통신 2019.07.19 5317
108 비트코인 투자, 日서도 열풍… 신조어 ‘오쿠리비토’ 등장 JUNE 2018.01.07 5282
107 '테라 사태' 권도형 세르비아에 주소등록까지 마쳤다. file 이원우기자 2022.12.14 5264
106 김성준 전 앵커, '몰카' 혐의 입건 속 SBS '오늘, 사표 수리' file 스피라통신 2019.07.08 519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