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248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피라TV]
 

44.jpg

<사진출처 : the300>
 

 

새해부터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의 '정치적 소환'이 이뤄졌다. 이들을 정치적으로 소환한 건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다. 이 대표는 "적절한 시기가 오면 두 전직 대통령의 사면을 문재인 대통령께 거론하겠다"며 사면 문제를 꺼냈다.

전직 대통령 사면이라는 민감한 주제를 집권여당의 대표가 직접 거론했다는 점에서 정치권의 반응은 뜨겁다. 여권 지지자들 사이에서도 이 대표를 공격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 대표로서는 가장 민감한 문제에 정치적 승부수를 건 셈이다.

 

이 대표가 사면 문제를 거론한 표면적 이유는 '국민 통합'이다. 전직 대통령의 사면 문제를 공론화해 분열의 정치를 끝내자는 취지다. 실제로 최근 들어 극단의 진영논리가 정치권을 휩쓸고 있다. 그는 민주당 신년인사회에서 "통합은 국민 모두 함께 나아가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통합은 민주당과 이 대표 본인에게도 중요한 화두다. 민주당의 지지율은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 주춤을 넘어 약세가 고착화하는 모습이다. 민주당이 강성 지지층에 휘둘린다는 지적까지 나오는 시점의 성적표다. 중도층을 흡수하지 못하는 양상이 반복되고 있다.

이 대표의 대선주자 선호도 역시 반등의 기회를 못찾고 있다. 여론조사업체 리얼미터가 YTN 의뢰로 지난 1~2일 실시한 차기 대선주자 선호도 조사(이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를 보면 이 대표는 15%의 지지로 3위에 그쳤다.

1위와 2위는 윤석열(30.4%) 검찰총장, 이재명(15%) 경기도지사다. 처음으로 30%를 넘긴 윤 총장의 경우 야권의 지지를 흡수한 것으로 분석된다. 여권에선 이 대표와 이 지사의 '양강 체제'가 지속됐다. 하지만 이 지사와 이 대표의 선호도 격차가 갈수록 벌어지거나 좁혀지지 않고 있다.

 

이 대표 입장에선 지난해 8월 말 당대표로 취임한 이후 대선주자 선호도가 오히려 주춤하고 있다. 이 대표가 내년 3월 대선에 출마하려면 오는 3월 당권을 내려놓아야 한다. 민주당의 당헌은 대권과 당권을 분리하고 있다. 대선 1년 전에 당대표직을 내려놓아야 한다.

따라서 2개월여 밖에 남지 않은 당대표 임기 사이에 승부를 봐야 하는 게 이 대표의 현실이다. 이 지사가 각종 현안에 선명성을 내세워 꾸준한 지지세를 확보하고 있는 것과 비교 대상이다. 이 지사는 사면 논쟁에 대해선 "대통령께 부담이 된다"며 말을 아끼고 있다.

이 대표가 전직 대통령의 사면을 둘러싼 당내의 이견을 좁힐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이 대표의 '사면론'에 동조하는 의원들이 있지만 상당수 의원들은 반대의 목소리를 낸다. 반대 여론이 상당한 점을 보면 이 대표가 당내에 본인의 생각을 미리 공유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반대의 목소리를 내는 이들은 국민통합과 전직 대통령의 사면을 연결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지적한다. 이 대표 취임 이후 주요 현안에 대해 민주당 의원들의 생각이 이렇게 양분된 것은 처음이다. 국민통합을 위해 거론한 전직 대통령의 사면이 오히려 당내 여론을 분열시킨 것이다.

박수현 민주당 홍보소통위원장은 본인의 페이스북에 "전직 대통령의 사면은 문재인 대통령의 피할 수 없는 정치적 운명이고 민주당과 이낙연 대표의 운명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스피라TV 박동혁기자 icsoft@naver.com
 
< 저작권자 ⓒ 스피라티비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09 전두환, 유죄 받고 귀가..나갈땐 '이놈', 들어갈땐 침묵 file 스피라통신 2020.11.30 11371
608 法 '회복 어려운 손해' 윤석열 업무복귀… 법무부, 즉시항고 검토 file 스피라통신 2020.12.01 12328
607 여야, '월성 원전' 수사 공방 '표적수사' vs '사필귀정' file 스피라통신 2020.12.05 10379
606 윤석열 징계위 D-1... 당일 경우의 수는 file 스피라통신 2020.12.10 11438
605 초대 공수처장 누가… '변협·秋 추천' 김진욱·전현정 주목 file 스피라통신 2020.12.10 11628
604 '윤석열 징계위' 결론 못내… 15일 속개하기로 file 스피라통신 2020.12.10 12238
603 '180표 턱걸이' 강제 종료된 필리버스터... 반대하던 1명, 막판 '찬성표' file 스피라통신 2020.12.14 10353
602 문대통령, 공수처법 긴급 재가... 관보 게재 완료 '즉시 시행' file 스피라통신 2020.12.15 11366
601 정부 '3단계 없이 확산세 꺾어야... 격상해도 '락다운' 고려 안해' file 스피라통신 2020.12.20 96355
600 윤석열 총장직 복귀... 법원, 징계 집행정지 신청 인용 file 스피라통신 2020.12.25 11431
» 이낙연은 왜 이명박·박근혜의 사면론을 꺼냈을까 file 스피라통신 2021.01.03 12485
598 박범계, 고시생 폭행 논란 '내가 당할 뻔' VS '허위사실' file 스피라통신 2021.01.07 11430
597 측근들 잇따라 이탈… 트럼프, ‘강제 축출’ 움직임에 결국 미련 접어 file 스피라통신 2021.01.08 10134
596 임기 8일 남은 트럼프, 운명의 날 file 스피라통신 2021.01.13 10330
595 박근혜 선고 나오자마자 사면 놓고 갑론을박 file 스피라통신 2021.01.15 13642
594 박범계 '김학의·윤석열 부인 사건, 공수처 이첩이 옳다' file 스피라통신 2021.01.25 11249
593 검찰개혁 앞세웠지만… '尹 때리기'로 채워진 '추미애 1년' file 스피라통신 2021.01.27 12742
592 김종인, '이적행위' 이어 '성폭행 프레임' 논란, 어쩌나 file 스피라통신 2021.02.03 10649
591 ‘녹취 논란’에 김종인 '김명수 대법원장, 법복만 걸친 정치꾼... 개탄스럽다' file 스피라통신 2021.02.06 12635
590 박범계·윤석열, 검찰인사 2차회동… '이성윤 유임 언급' file 스피라통신 2021.02.06 11436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46 Next
/ 46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