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피라TV]
 

66.jpg

<사진출처 : 헤럴드경제, 연합뉴스>

 

 

임대차2법(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상한제)이 지난달 말부터 전격 시행된 가운데, 세부 시행방안을 두고 임대인·임차인 사이에서는 ‘현실을 모르는 조치’라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전세물건이 씨가 마른 상황에서 세입자(임차인)가 계약을 연장하려고 임대료 증액 ‘5%룰’을 일부러 깨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집주인(임대인)은 세입자 동의 없이 임대료를 1원도 올릴 수 없어 5% 규정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도 커진 상황이다.

 

25일 공인중개업계에 따르면 전세계약 갱신 시점을 앞두고 세입자가 먼저 임대료를 5% 이상 올리자고 제안하는 사례가 나오고 있다.

 

최근 시행된 임대차2법은 세입자의 주거권 보호를 위해 2년 계약갱신(2+2년)을 보장하고, 임대료 인상폭을 최대 5%로 제한한다. 하지만, 계약 연장을 무력화할 수 있는 ‘집주인의 실거주’를 막기위해 세입자가 선제적으로 나선 것이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에서 전세를 사는 A씨는 올해 말 계약 만료를 앞두고 집주인에게 전세금을 1억원 올리자고 제안했다. 그는 “애초부터 4년 이상 살겠다고 생각하고 들어왔는데, 임대인이 직접 들어와 살겠다고 하면 속수무책으로 (내가) 나가야 하는 상황”이라며 “상호합의 하에 전세금을 올려주고 좋게좋게 계약을 이어나가려 한다”고 말했다. 이 지역의 한 공인중개사는 “아이가 중·고등학교를 마치기 전까진 눌러앉겠다는 전세수요가 많다”며 “임대차법이 시행되니 오히려 세입자가 집주인 눈치를 더 보고 있다”고 전했다.

 

국토교통부도 집주인이 명시적으로 요구한 사항이 아니라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양측의 합의만 있다면 임대료 5% 이상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전세 수요가 몰리는 인기지역일수록 세입자가 이런 선택을 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5%룰과 별개로 집주인이 세입자 동의 없이 임대료를 1원도 올릴 수 없다는 규정도 임대인·임차인 간 구조적인 갈등을 키울 수 있다는 점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국토부는 최근 임차인이 재계약할 때 임대인의 증액 청구에 반드시 응할 필요는 없다는 설명을 내놨다. 계약갱신청구권은 임차인의 기본적 권리이기 때문에, 임대료 증액 5% 규정과 상관없이 계약 연장이 가능하다는 취지다. 이는 사실상 4년간 임대료 동결도 가능하다는 의미다. 양측이 합의를 보지 못하면, 주택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 조정이나 민사소송 등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사유재산에 대한 지나친 간섭은 그간 임대료 인상에 별생각이 없었던 착한 임대인도 자극할 수 있다”며 “집주인이 실거주 카드를 쓰면 오히려 세입자가 내몰릴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신규 계약이 이뤄지는 시점에는 임대료가 대폭 올라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신규 계약은 전월세상한제(5%)를 적용받지 않기 때문이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4년 뒤 ‘미친 전셋값’은 또 한번 논란이 될 수 있다”며 “집주인들이 4년치 임대료 상승분을 미리 받으려 해 인상폭에 대한 체감이 더 커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스피라TV 박동혁기자 icsoft@naver.com
 
< 저작권자 ⓒ 스피라티비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 대법원 "고의 성능저하 애플, 소비자에게 배상하라" 판결 '베터리 게이트' 소송 줄 잇나

    Date2023.12.06 By이원우기자 Views31630
    Read More
  2. 대법원 '이동통신 특허 갑질' 퀄컴에 1조 300억원 역대 최대 규모 과징금 확정

    Date2023.04.13 By이원우기자 Views26221
    Read More
  3. 美·中 싸움에 등터진 LG유플러스... 말도 못하고 속앓이만

    Date2020.07.23 By스피라통신 Views16690
    Read More
  4. 소프트뱅크, 엔비디아에 ARM 매각… 47조4000억 원

    Date2020.09.14 By스피라통신 Views15395
    Read More
  5. '손정의 나스닥 고래였다... 기술주 콜옵션 4.8조 매입'

    Date2020.09.05 By스피라통신 Views15369
    Read More
  6. 공인인증서 21년 만에 '퇴장'... 700억원 규모 시장 '승자' 누굴까

    Date2020.11.16 By스피라통신 Views14505
    Read More
  7. 소비자들 연일 치솟는 물가에 소포장 찾고, 쿠폰 챙긴다!

    Date2022.06.20 By스피라TV통신 Views14055
    Read More
  8. 넥스지, 상폐는?

    Date2018.07.17 By운영자 Views13842
    Read More
  9. 최대 천만원 소상공인 지원 손실보전금 23조 지급 개시

    Date2022.05.30 By스피라TV통신 Views13619
    Read More
  10. 산업통상자원부 연료비 급등에 '전기도매가상한제' 적용

    Date2022.05.24 By스피라TV통신 Views13535
    Read More
  11. No Image

    금리 7% 돌파에, 與 주택담보대출 대출금리 인하 카드 꺼내 들어

    Date2022.06.22 By스피라TV통신 Views13345
    Read More
  12. 잘못 송금된 비트코인 사용한 30대 A씨, 파기환송심서 무죄!

    Date2022.06.19 By스피라TV통신 Views13204
    Read More
  13. 세입자가 더 눈치본다?... 의문 커지는 전월세 상한 '5%룰'

    Date2020.08.25 By스피라통신 Views13153
    Read More
  14. 한은 사상 첫 '빅스텝', 기업 수익성 악화 우려.

    Date2022.07.14 By스피라TV통신 Views13049
    Read More
  15. 금리상승에도 2달째 증가하는 가계대출, 잔인한 가정의 달.

    Date2022.06.12 By스피라TV통신 Views12996
    Read More
  16. 벼락거지 면하려다 1년치 연봉 다 날렸다.. 2030 '패닉'

    Date2021.05.21 By스피라통신 Views12875
    Read More
  17. 현대차 기아 미국의 전기차 보조금 정책에 큰 타격, 로이터 "공략 차질"

    Date2022.09.03 By스피라통신 Views12822
    Read More
  18. '계획된 적자'는 끝났다. 로켓배송 시작 8년만에 흑자 전환한 쿠팡

    Date2022.11.10 By이원우기자 Views12782
    Read More
  19. 엔화 가치 20년만에 최저, 엔ㆍ달러 환율 장중 133엔까지 치솟아

    Date2022.06.07 By스피라TV통신 Views12749
    Read More
  20. 화웨이와 결별 LGU+ '과연 가능할까?'

    Date2020.07.24 By스피라통신 Views1268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