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간 적도 없는데'... 클럽발 집단감염 전국으로 확산

by 스피라통신 posted May 15, 202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스피라TV]
 

46.jpg

<사진출처 : 서울신문>

 

 

 

서울 용산구 이태원 클럽에서 촉발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감염이 클럽에 가지 않았던 사람들로 확산하고 있다. 2차, 3차 전파가 본격화하면서 이태원 클럽 관련 신규 확진자 중에서는 클럽 방문자보다 접촉자의 감염 사례가 더 많아지는 추세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이태원 클럽 관련 신규 확진자 발생 양상이 클럽 방문자에서 접촉자 중심으로 변화하는 양상이라고 15일 밝혔다. 첫 확진자가 나온 지난 7일 이후 일주일이 지난 13일부터 전날까지 이틀 동안 접촉자의 감염 사례가 더 많았다.

 

13일 발표된 이태원 클럽 관련 확진자 18명 중 방문자는 8명, 접촉자는 10명이었다. 14일에는 방문자 5명, 접촉자 15명으로 그 격차가 더 벌어졌다. 전날 정오까지 보고된 누적 확진자 133명 중에서는 약 38%(51명)가 접촉자로 분류된다.

 

즉, 클럽에 다녀온 확진자의 직장과 가정 등에서 전국 곳곳으로 퍼져나간 셈이다. 나아가 직장이나 집 등 일상생활을 하는 곳뿐만 아니라 노래방 같은 유흥업소도 매개가 되면서 3차 감염으로 추정되는 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슈퍼전파 사건의 발단인 용인 66번 환자는 직장동료를 감염시켰고, 인천에서는 클럽에 다녀온 학원 강사로 인해 학원 수강생, 동료 강사, 과외 학생과 보호자 등 중고생 9명과 성인 5명이 감염됐다.

 

또 서울 영등포의 한 병원에서는 클럽에 방문한 작업치료사로부터 다른 직원과 입원환자가 연쇄 감염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N차 전파’ 사례가 지속해서 나올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클럽 방문자 대부분이 사회적 활동이 왕성한 20∼30대인 점이 문제다. 이들은 친구나 동료 등과의 교류가 많고 활동 범위도 넓은 편이어서 접촉자 수가 적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스피라TV 박동혁기자 icsoft@naver.com
 
< 저작권자 ⓒ 스피라티비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rticles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