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피라TV]
 

66.jpg

<사진출처 : 중앙일보,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다른 감염병 발생이 크게 줄고 있다. 급성호흡기감염병·인플루엔자(독감)은 사라졌고, 눈 감염병이나 수두 같은 전염력이 강한 감염병은 3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요양병원 원내 감염도 줄었다. 코로나19가 감염병 지도를 완전히 바꿔놓았다. 질병관리본부(이하 질본) 이동한 감염병총괄과장이 "수두, 안과 감염병 등의 감염 환자가 이렇게 나올 수가 없다"고 말할 정도다.

 

코로나19가 한국인의 일상을 바꿔놓았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왔다. 이 과장은 "하루 손 씻는 횟수가 두 배 이상 늘었고, 기침 예절을 지키며, 이동이 감소하면서 접촉이 줄었다"라며 "어린이집·유치원·학교가 문을 닫은 것도 크게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마스크를 안 쓰는 사람이 거의 없는 점도 기여했다. 사람 간 접촉 줄면 공기 감염(수두), 비말(감기 등 호흡기 질환) 등의 전염 요인이 줄어든다. 손 씻기를 잘 하니 손으로 눈을 비벼도 눈병이 잘 생기지 않는다.

 

질병관리본부가 감염병 현황을 집계했더니 아데노·리노·사라코로나 등의 7개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호흡기감염병 입원환자가 지난주(4월 26일~5월2일)에 3명으로 집계됐다. 리노바이러스 감염증만 3명 생겼을 뿐 나머지는 0명이었다. 감기보다 좀 더 심해 종합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2046명이 발생했다.

 

동네의원의 감기 환자도 급감했다. 서울 마포구 유내과의원 유동은 원장은 "하루 방문하는 외래환자가 50% 줄었다. 병원을 찾는 외래 환자는 고혈압·당뇨병 같이 병원에 오지 않을 수 없는 만성질환자가 대부분이고 복통·설사 등의 비호흡기 질환자"라면서 "감기 같은 호흡기 질환 환자는 거의 오지 않는다"고 말했다. 유 원장은 "열이 있는 사람은 선별진료소로 가거나 경미할 경우 병원에 가서 병이 걸릴까봐 오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유행성 각결막염, 급성 출혈성 각결막염 등의 안과 감염병이 크게 줄었다. 질본이 표본감시 의료기관 92곳을 찾은 환자 1000명당 유사환자 비율을 뽑았더니 지난주 4.8명으로 나왔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17명이었다. 보건 당국이 "코로나19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손으로 눈을 비비지 말라"고 계속 설명한 것이 효과를 발휘했다. 수두·유행성이하선염(볼거리) 같은 2급 감염병도 줄었다. 3~4월 수두 환자는 지난해 1만1568명에서 올해 3764명으로 67% 줄었다.


살모넬라·캄필로박터 등 11개 세균이 일으키는 식중독 같은 장관감염병은 지난주 134명이 발생했다. 지난해에는 420명이었다. 전국 192개 표본의료기관에서 확인된 환자들이다. 식중독을 일으키는 노로바이러스, 아이들에게 설사를 유발하는 로타바이러스 등의 감염증도 크게 줄었다. 또 올해 독감은 쉽게 지나갔다. 매년 3월 개학과 더불어 작은 유행(2차 유행)이 발생하는데, 올해는 그런 게 없었다. 보건 당국은 3월 말 독감주의보를 해제했는데, 지난해보다 석달 빨랐다.

 

요양병원의 원내 감염도 크게 줄었다. 자녀나 친지의 문병이 금지되면서 외부에서 균을 가져들어올 일이 거의 사라졌기 때문이다. 서울 마포구 조항석 연세노블병원 원장은 "면회나 문병을 차단하면서 입원 환자들이 감기에 안 걸리고 폐렴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줄었다"고 말했다. 질본이 13개 표본감시의료기관에서 발생한 폐렴 환자를 집계했더니 지난주 22명이었다. 지난해(97명)의 5분의 1이다.

 

6일 강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하고 생활 방역으로 전환하면서 조금씩 접촉이 늘어난다. 곧 학교가 문을 연다. 감염병도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질본 이동한 과장은 "향후 감염병 추이를 유심히 지켜봐야 한다"고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

 

 


스피라TV 박동혁기자 icsoft@naver.com
 
< 저작권자 ⓒ 스피라티비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69 '내 집' '내 재산'에 민감했다... 당락 가른 '부동산 계급 투표' file 스피라통신 2020.04.22 4554
668 '한시가 급한데 뭐하나'... 재난지원금 핑퐁게임에 시민들 '발동동' file 스피라통신 2020.04.23 4698
667 오거돈 부산시장 성추행 인정하고 사퇴하다 file 엽기자 2020.04.23 3849
666 민주, 재난지원금 릴레이 기부... 의원들 선언 잇따라 file 스피라통신 2020.05.01 4038
665 걷는 모습 등 ‘롱테이크’ 연출… 확 달라진 김정은 보도 file 스피라통신 2020.05.04 4635
664 이재명 '지역화폐 바가지는 형사처벌·가맹점 박탈·세무조사 대상' file 스피라통신 2020.05.06 5270
» 잊혀진 감염병..'이럴 수 없는데' 통계 본 질본도 깜짝 놀랐다 file 스피라통신 2020.05.08 6263
662 이태원 클럽발 확진 급증 … 경기도내 유흥시설 집합금지 file 스피라통신 2020.05.10 7674
661 박원순 '이태원 클럽 방문 연락두절 3000여명, 자택추적도 불사' file 스피라통신 2020.05.11 8982
660 전두환 자택 인근서 '사죄하라' 드라이브스루 집회 열려 file 스피라통신 2020.05.16 7878
659 민주당 ‘한명숙 뇌물사건’ 재조사 촉구 file 스피라통신 2020.05.21 7577
658 우상호 '윤미향, 금융계좌 대조하려면 꽤 시간이 걸려 해명 쉽지 않다' file 스피라통신 2020.05.27 7461
657 윤석열, 한명숙 사건 '위증교사 의혹' 조사 지시... 전담팀 구성 file 스피라통신 2020.06.12 8634
656 '한명숙 사건·검언유착 사심 없이 봐야' file 스피라통신 2020.06.15 8464
655 15년만에 발동한 법무장관 지휘권... 추미애-윤석열 정면충돌 할까 file 스피라통신 2020.06.19 8474
654 박원순 '대북 전단지 살포 중단해야... '핵무장론'은 비상식적 대응' file 스피라통신 2020.06.19 8650
653 추미애 '본질은 '검언유착'..언어품격 저격 번지수 틀려' file 스피라통신 2020.06.27 8659
652 나경원, 시민단체 대표에 손배 소송… '허위사실 유포' 1 file 스피라통신 2020.07.03 7755
651 통합당·국민의당 '윤석열 탄압금지' 결의안 공동 제출 file 스피라통신 2020.07.03 7353
650 최후통첩 날린 추미애... 윤석열의 좁아진 선택지 file 스피라통신 2020.07.08 7496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46 Next
/ 46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