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피라TV]
 

45.jpg

<사진출처 : 노컷뉴스, 연합뉴스>

 

 

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 논의가 4·15 총선 이후 일주일째 지지부진하고 있다.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액, 대상 등을 놓고 당정, 여야간 '핑퐁'게임이 이어지면서 4월 임시국회 중 추경안을 처리해 5월 중 지원금을 지급하려던 일정에 차질이 불가피해진 모양새다.

 

이런 가운데 극심한 생활고를 정면으로 감당하고 있는 시민들의 한숨은 더욱 커지고 있다. 총선에서 여야가 앞다퉈 긴급재난지원금을 공약했던 만큼 선거가 끝나자 태도가 돌변했다며 배신감을 느끼는 시민들도 있었다.

 

지난 22일 오후 서울 성북구의 한 주민센터에서 만난 허모(63)씨는 재난지원금이란 말을 듣자마자 한숨부터 내쉬었다.

 

이날 서울시 재난긴급생활비 지원을 신청하러 왔다는 허씨는 "코로나 이후 생계가 어려워져 당장 한푼이 급한 상황이다"며 "정부든 지자체든 돈을 주려면 한시라도 빨리 줬으면 좋겠다"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허씨는 "남편, 아들과 셋이 살고 있다. 남편은 지병이 있어서 일을 못하고 아들은 최근 코로나 대문에 다니던 직장을 그만뒀다"며 "(국회가) 빨리 상의해서 결정해주길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자영업자들의 고심은 더 컸다. 작은 공장을 운영하는 65살 김모씨는 "작년 후반기부터 공장은 계속 마이너스고 빚만 잔뜩 지고 있다"며 "상담을 받아보니 직장에 다니는 아들 딸이 있다는 이유로 지원금 대상이 아니라는데 답답하다"고 말했다.

 

30년 넘게 서울에서 슈퍼마켓을 운영한 박은호씨는 "맨날 국회에서 자기들끼리 떠들고 있다. 긴급재난지원금이라면 빠른 시간 내에 몇십만원이라도 줬으면 한다"며 "당장 대출 받으러 은행을 가면 신청기간이 끝났다던가 조건이 안 된다는 이유로 거절 당해 장사하는 입장에서 너무 힘들다"고 말했다.

 

박씨는 "이 상태로 6개월이고 1년이고 더 가면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엄청날 것"이라며 "현장에서는 분위기가 얼어붙은 수준이고 오늘 죽느냐 내일 죽느냐 하는 상황이다"고 지적했다.

 

직원 수십명을 고용한 업장의 경우 적자 규모는 더 클 수밖에 없다. 망원시장상인회 회장을 맡고 있는 김진철(55)씨는 "채용한 인력이 많은 큰 식당들은 장사가 안 되더라도 매달 고정적으로 월급이 나가야 한다"며 "벌써 서너달 동안 한 달에 깨지는 돈만 몇천만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시민들은 총선이 끝나자 정치인들이 갑자기 말을 바꿨다며 분개했다.

영등포시장 인근에서 20년 동안 구두방을 운영한 강모(47)씨는 "정치인들이 총선에서 표를 얻으려고 한 공약들을 지켜야 한다"며 "100%든 70%든 우왕좌왕하지 말고 빨리 결정해 지원금을 지급했으면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옷가게를 운영하는 70대 자영업자는 "지금 보면 선거에서 (당선) 되고 나면 그만이지 않느냐"라며 "시장에 사람들도 없고 오늘은 돈을 구경도 못했다. 경기가 안 좋아 사는 게 지옥같다"고 고개를 떨궜다.

 

총선 이후 정부는 소득 하위 70%, 여당은 총선 공약인 100% 지급을 각각 고수하며 일주일간 엇박자를 내다가 지난 21일 큰 틀에서 '100% 지급안'에 합의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고소득자 등의 자발적 기부가 가능한 제도 마련'을 전제로 100% 지급 확대에 잠정 동의한 상황이다.

 

이에 야당인 미래통합당은 당정이 합의한 100% 지급에 대해 뚜렷한 입장을 밝히지 않으면서도 적자국채 발행은 반대한다는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어 여야간 핑퐁 게임은 계속되고 있다.

 

 


스피라TV 박동혁기자 icsoft@naver.com
 
< 저작권자 ⓒ 스피라티비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69 대한민국 국정감사에 등장한 '최고 존엄'발언, 법사위 국감 40분 만에 파행 file 이원우기자 2022.10.18 13185
668 이재명 '셀프 공천' 논란에 민주당 당권 주자들 맹비난 file 스피라TV통신 2022.07.26 13163
667 대통령 지지율이 당보다 낮다, 윤 대통령 지지율 긍정 33.3% VS 부정 63.4% file 스피라TV통신 2022.07.26 13157
666 윤 대통령, 전 국정원장 고발 승인 여부 두고 여야 난타전 file 스피라TV통신 2022.08.04 13149
665 '저학력, 저소득' 발언으로 논란에 휩싸인 이재명 file 스피라TV통신 2022.08.02 13149
664 당대표직 잃은 이준석 '법적대응' 공식화 file 스피라TV통신 2022.08.10 13106
663 이재명 대표 '개딸' 향해 최초 비판, "과한 행동은 당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file 엽기자 2023.11.10 13096
662 이재명 "모든 방향서 최대치 공격" 배우자 수사에 고충 토로 file 스피라TV통신 2022.08.05 13039
661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 "여가부 폐지 명확하다" file 스피라TV통신 2022.06.16 13018
660 검찰 6.1 지방선거 관련 878명 수사 착수 이재명,안철수,김동연 포함 file 스피라TV통신 2022.06.02 13016
659 제2부속실의 부활인가? 청와대 청사 5층 김건희 여사의 다용도 접견실 만들 것 file 스피라TV통신 2022.06.07 13004
658 박지현 "최강욱 처벌 아쉬워"...고민정 "박지현 좀 더 신중해야" file 스피라TV통신 2022.06.21 13002
657 당헌 80조 개정 찬성의사 밝힌 이재명에 박용진 "오죽 불안하면.." 비판 file 스피라TV통신 2022.08.10 12997
656 김경수 8월 가석방 대상 제외, 8.15 특별사면으로 출소하나 file 스피라TV통신 2022.08.03 12994
655 '친이준석계' 줄줄이 사퇴, 사면초가 이준석 file 스피라TV통신 2022.08.09 12973
654 '마약 정치'두고 현직 법무부 장관과 전직 법무부 장관 설전, 한 VS 추 결과는? file 이원우기자 2023.04.26 12949
653 국민의힘 김종혁 "MBC 기자, 대통령 문답 당시 슬리퍼 차림 먼저 예의 생각하길" file 이원우기자 2022.11.19 12934
652 홍준표 "난 김경수도 용서" 윤 대통령에 김경수 사면 촉구 file 스피라TV통신 2022.08.11 12927
651 최재형, 조해진, 하태경 "지금은 비상상황 아니야" 비대위 전환 반대 file 스피라TV통신 2022.08.04 12924
650 이재명 '불법 사채 무효법' 발의, 본격 민생행보 file 스피라TV통신 2022.07.28 12905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46 Next
/ 46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