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피라TV]
 

46.jpg

<사진출처 : 아시아경제 , 연합뉴스>

 

 

집권 3년차를 맞은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이 47.3%를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전 두 정부 동년차 지지율보다는 높은 수치로, 당시 이명박 전 대통령은 44.0%, 박근혜 전 대통령은 35.3%를 기록한 바 있다.

 

리얼미터는 tbs의 의뢰로 지난 7~8일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이 전주보다 1.8%포인트 내린 47.3%로 집계됐다고 9일 밝혔다. 부정평가는 2.6%포인트 오른 48.6%로, 긍·부정 평가가 오차범위(±3.1%포인트) 내인 1.3%포인트 격차로 팽팽하게 엇갈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간으로는 보면 지난 3일 50.0%(부정평가 45.9%)로 마감한 후, 북한의 단거리 발사체 발사가 있었던 어린이날 연휴를 지나 7일 47.3%(부정평가 47.9%)로 내렸다. 8일엔 전일과 동률을 기록했고 부정평가만 0.7%포인트 상승했다.

 

세부 계층별로는 서울과 호남, 대구·경북(TK), 30대와 20대, 중도층과 진보층에서 주로 하락했고, 충청권과 경기·인천, 40대와 60대 이상, 50대, 보수층에서는 상승했다.

 

문 대통령의 집권 3년차 국정 지지율은 이전 정부들보다는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같은 시기 이명박 전 대통령의 경우 44.0%를, 박근혜 전 대통령은 35.3%를 기록한 바 있다.

 

지난 2년 동안 문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 최고치는 2017년 5월 4주차의 84.1%(부정평가 10.0%)로 나타났다. 이는 박근혜 대통령(2013년 9월 1주차 67.0%)보다 17.1%포인트, 이명박 대통령(2008년 4월 2주차 54.8%)보다 29.3%포인트 높은 수치다.

 

리얼미터는 문 대통령의 지지율을 집권 초 2017년 5월 3주차(81.6%)부터 2018년 1월 4주차(60.8%)까지 1차 하락기, 2018년 6월 2주차(75.9%)까지 1차 상승기, 2018년 12월 4주차(45.9%)까지 2차 하락기, 이후 현재까지 1차 보합기로 구분했다.

 

1차 하락기에는 ▲새 정부 내각 구성을 둘러싼 인사 논란 ▲북한의 핵실험·미사일 도발 ▲최저임금 인상 논란과 가상화폐 논란 ▲평창 동계 올림픽 남북 단일팀 구성 논란 등이 지지층 이탈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1차 상승기엔 ▲북한의 평창 동계 올림픽 참가 ▲3·5 대북 특사 파견 ▲4·27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6·12 북미정상회담 등 한반도 평화 무드가 크게 작용했고, 2차 하락기엔 ▲고용지표를 비롯한 각종 경제지표 악화 ▲'경제 실패·무능·소홀' 등 야당의 대정부 공세 본격화 등이 영향을 줬다고 봤다.

 

이후 올해 1월 1주차부터 현재까지 약 4개월 동안 평균 주간집계 48.2%를 전후한 1차 보합기는 ▲문재인 대통령의 지속적인인 '경제 활성화, 민생회복' 행보 ▲'김학의·장자연·버닝썬' 특권층 성 비위 의혹 ▲5·18, 세월호 망언 ▲2차 북미정상회담 합의 결렬 ▲북한의 동해 단거리 발사체 발사 ▲3·8개각 및 이미선 인사 논란 등 각종 긍·부정 요인이 맞물렸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정당지지도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전주보다 3.7%포인트 내린 36.4%를 기록, 상당 폭 하락했다. 반면 자유한국당은 1.8%포인트 오른 34.8%로 4주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정의당은 민주당을 이탈한 유권자 포함 대부분의 지역과 계층에서 결집하며 2.1%포인트 오른 8.3%를 기록했고, 바른미래당은 0.7%포인트 내려 4.5%를 기록했다. 민주평화당은 2.1%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1만5368명에게 접촉해 최종 1008명이 응답을 완료, 6.6%의 응답률을 기록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스피라TV 박동혁기자 icsoft@naver.com
 
< 저작권자 ⓒ 스피라티비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29 與, MBC 항의방문 "언론과 전면전 아냐… MBC 민영화해야" file 스피라통신 2022.09.29 13772
728 조선일보, '조국 부녀 연상' 일러스트 재차 사과... 경위 설명 file 스피라통신 2021.06.30 13760
727 이철희 '국민의힘 배틀 심사위원? 간다면 靑 휴가내고 가겠다' file 스피라통신 2021.06.17 13751
726 '남편 앞길 막은 죄?'... 김건희 사과의 진짜 문제점 file 스피라통신 2021.12.27 13734
725 대통령실 '김 여사 대학원 최고위 동기 선임행정관, 역량 검증돼' file 스피라통신 2022.08.06 13710
724 유시민 '이재명, 잘했다 사랑한다... 윤석열, 권력 잘 사용하길' file 스피라통신 2022.03.10 13709
723 '산업부 블랙리스트'에 이어 '대장동 개발 의혹'까지 수사 확대 되자, 민주당 '정치보복', 국민의힘 '내로남불, 이중잣대가 민주당의 실질 강령' file 스피라TV통신 2022.06.16 13704
722 與, 공영방송 연일 때리기… MBC 사장 공개 퇴진 요구도 file 스피라통신 2022.07.16 13696
721 윤석열측 '김건희 계좌 이번주 공개' vs 홍준표측 '도이치 거래 계좌로' file 스피라통신 2021.10.18 13679
720 외교부, 위안부 할머니 돈 뺏어 쓰던 윤미향 '한ㆍ일 위안부 합의 협의했었다'며 관련 문건 공개 file 스피라TV통신 2022.05.27 13675
719 대검 '윤석열 장모 변호 문건' 전문 공개 file 스피라통신 2021.09.29 13658
718 민주 '윤석열 장모도 조국처럼 수사하라... 尹, 얼마나 무마시켰나' file 스피라통신 2020.09.20 13653
717 '정순신 아들 학폭' 청문회 31일 열린다. file 이원우기자 2023.03.21 13652
716 정부, 수도권 전공의·전임의에 업무개시명령 발동 file 스피라통신 2020.08.26 13651
715 유승민 '아스트라제네카 1번 접종, 文 대통령부터 하시라' file 스피라통신 2021.02.19 13647
714 박근혜 선고 나오자마자 사면 놓고 갑론을박 file 스피라통신 2021.01.15 13642
713 윤석열 또 지각·실언... 홍준표 '나도 모르겠다 이젠' file 스피라통신 2021.12.22 13633
712 '공직선거법 위반' 박형준 시장, '4대강 사찰 관련 의혹 사실 아니다' file 스피라통신 2021.11.26 13631
711 안철수 제안 과학수석 불발... 정치경력 풍부한 전문가 포진 file 스피라통신 2022.05.01 13619
710 조응천 '민정수석실 폐지? 목욕물 버리려다 애까지 버리는 격' file 스피라통신 2022.03.15 13615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46 Next
/ 46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