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산불 진화 '재발화 없어...감시체제 돌입'

by 스피라통신 posted Apr 06, 20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스피라TV]
 

46.jpg

<사진출처 : 파이낸스투데이>

 

 

강원 고성, 속초의 산불 상황이 어제 마무리되면서 고성에 있던 대책 본부는 강릉 옥계 쪽으로 옮겨졌다.

다행히 밤사이 재발화는 없는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고성과 속초지역의 산불은 어제 오전에 큰불이 잡혔고, 잔화 작업까지 어제 오후 마무리됐다.

대응단계도 3단계에서 2단계로 낮아져서, 지금은 혹시 모를 뒷불 감시체제로 전환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대책본부도 고성에서 강릉 옥계면으로 옮겨졌고, 고성에는 감시인력만 남아 혹시 살아날지도 모를 뒷불을 순찰하며 대비하고 있다.

밤사이 꺼졌던 산불이 다시 살아나는 재발화는 다행히 없는 상태다.

한편 옥계 쪽도 상황이 어젯밤 대부분 마무리됐다.

큰 불길은 어제 오후 5시쯤 모두 잡혔고, 오후 10시쯤부터 뒷불 감시체제로 전환됐다.

강원 인제에 났던 산불도 밤사이 크게 번지지 않아서 새벽 6시 기준 진화율을 어제 오후와 같은 85%다.

산불이 났던 그제 밤 상황과는 다르게 바람도 그리 심하지 않은 상황속에 건조한 날씨 때문에 불씨가 다시 살아날 가능성도 있어서 모든 상황이 마무리될 때까지 긴장을 늦추지 않는다는 게 소방당국의 계획이다.

강원 고성군과 속초시, 강릉시와 동해시, 인제군 일대하지만 산불 발생 이후 진화가 마무리되면서 복구작업이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

강원 고성군과 속초시, 강릉시와 동해시, 인제군 일대정부는 먼저 주민들이 본 피해 규모를 조사하는 동시에 본격적으로 구호 활동을 전개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정부는 대형 산불이 발생한 강원도 지역에 '재난 사태'를 선포했다.

대상지는 강원 고성군과 속초시, 강릉시와 동해시, 인제군 일대다.

특별교부세 40억 원, 재난 구호사업비 2억 5천만 원이 지급될 예정이다.

특별교부세는 산불 진화 인력과 장비 동원, 소실된 산림과 주택 잔해물 처리 등에 쓰여진다.

재난 구호사업비는 이재민 긴급 구호를 위한 임시 주거시설 운영과 생필품 구입에 사용된다.

또 정부는 피해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재난 심리 상담 등 이재민 보호지원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스피라TV 박동혁기자 icsoft@naver.com
 
< 저작권자 ⓒ 스피라티비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rticles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