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21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피라TV]
 

01.jpg

<사진출처 : 뉴데일리>

 

 

지난달 정치권을 뜨겁게 달군 '김앤장(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장하성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교체설'이 9일 현실로 이뤄졌다. 중앙일보는 지난달 11일에, 경향신문은 지난달 30일에 각각 '김앤장 교체설'을 보도했다.

윤영찬 대통령비서실 국민소통수석비서관은 9일 오후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통해 "문재인 대통령은 신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으로 홍남기 현 국무조정실장을, 신임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에 김수현 현 대통령비서실 사회수석비서관을 임명했다"고 알렸다. 

윤영찬 국민소통수석비서관은 "이번 인사는 문재인 정부의 철학과 기조를 이어가기 위함"이라며 "(또)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일 국회 시정연설 때 제시한 '함께 잘 사는 포용국가'를 힘 있게 추진하기 위함"이라고 설명을 더했다.

 

"정말 교체해야 할 게 무엇인지 모르는 듯"

윤영찬 국민소통수석비서관 브리핑을 통해 '문재인 정부의 경제투톱'만이 교체됐을 뿐,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 기조'에는 변함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일 국회 시정연설 때 "'함께 잘 살자'는 우리의 노력과 (현 정부의) 정책기조는 계속되어야 한다"며 "'함께 잘 살기' 위한 성장전략으로 (현 정부의 핵심 경제정책인) 소득주도성장·혁신성장·공정경제를 추진했다"고 밝힌 바다.

판교역 연결!판교 중심특권!

 

야권에서는 현 정부의 경제정책 기조가 수정되지 않는다면 우리나라 경제는 더욱 힘들어질 것으로 우려했다. 윤용호 자유한국당 부대변인은 김앤장이 교체된 날 뉴데일리와의 통화에서 "김앤장이 교체됐다는 언론 보도를 봤다"며 "하지만 김앤장 후임자들을 보면 '이름만 다른 김앤장'이란 느낌을 받았다. 문재인 대통령은 정말 교체해야 할 게 무엇인지 모르는 것 같다"고 했다.

실제 문재인 정부의 핵심 경제정책인 '소득주도성장(세제개편과 최저임금 인상 등 부의 분배)'으로 인해 우리나라 경기는 '하강국면'에 진입했다. 통계청이 지난달 마지막 날 발표한 '9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전체 산업 생산지수는 106.6점으로 전월보다 1.3% 내려갔다.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도 98.6점으로 0.3%p 하락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9월 산업활동동향'이 발표된 날 "6개월 연속 경기동행지수가 하락하는 등 경제 상황이 좋지 않음을 부인하기 어렵다"고 설명을 더했다.

 

김앤장과 뚜렷한 차이점 없는 후임자들

한편 '김앤장'과 '김앤장 후임 인사'들의 이전 발자취는 비슷하다. 홍남기 후보자는 행정고시 29회 합격자인 관료 출신이고, 김동연 부총리 역시 행정고시 26회 합격자인 관료 출신이다. 두 사람은 관료로서 걸어온 길도 비슷하다. 홍남기 후보자는 기획재정부에서 대변인과 정책조정국장을, 김동연 부총리는 기획재정부에서 예산실장과 제2차관을 각각 역임했다.

김수현 신임 정책실장과 장하성 전 정책실장도 마찬가지다. 김수현 신임 정책실장은 참여정부 때 사회정책비서관과 서울연구원장(서울시 연구기관) 등을, 장하성 전 정책실장은 정책네트워크 내일 소장과 한국금융학회장 등을 각각 역임하며 정책전문가의 길을 걸어왔다.
 

김앤장과 김앤장 후임 인사들의 차이점이 없다는 얘기다. 청와대 역시 이 부분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전임자들과 정책적 차이가 크게 없는 인물들로 인선을 한 이유'에 대해 "각자의 장점이 있다. 또 어느 시점에서 어떤 것을 필요로 하는 요소들이 있기 때문에 지금은 그런 요소들이 더욱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을 흐렸다.



 

스피라TV 박동혁기자
 
< 저작권자 ⓒ 스피라티비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44 6년만에 총파업 나선 서울지하철, 운행량 85%대 추락 file 이원우기자 2022.11.30 5384
743 검찰, SPC 불법 승계 의혹 수사 박차, 허영인 회장 소환 조사 file 이원우기자 2022.11.30 6668
742 공수처, '간첩조작 사건' 보복 기소한 검사들 끝내 '무혐의 결정'... 이유는 "공소시효 지나" file 이원우기자 2022.11.29 12041
741 검찰, '서해 피살 공무원 월북조작' 사건 서훈 전 안보실장 구속영장 청구 file 이원우기자 2022.11.29 18212
740 검찰, 라임 몸통 김봉현 도주 도운 친누나 체포영장 발부.. 당사자는 미국서 연락두절 file 이원우기자 2022.11.29 11474
739 법원, 혼인빙자해 지적장애인 가정에 수천만원 가로챈 40대에 징역 7년 선고 file 이원우기자 2022.11.28 7784
738 법원, 김봉현 도주 도운 애인 A씨 구속영장기각! 법원은 김봉현에게만 관대하다. file 이원우기자 2022.11.28 15994
737 노조의 폭력성은 어디까지 갈 것인가? 쇠구슬 투척에 파업불참 기사 욕설, 협박까지.. file 이원우기자 2022.11.28 7504
736 지난해에 이어 또 아이들 급식을 볼모로 삼은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 file 이원우기자 2022.11.25 11301
735 이태원 참사 희생자 유족 첫 기자회견, "정부 철저한 진상규명 해야" file 이원우기자 2022.11.22 6493
734 김용 유동규에 "쓰레기라도 먹고 입원해라", 실체적 증거 없이 증언만으로 만들어진 검찰의 구속영장 증거는 언제쯤? file 이원우기자 2022.11.22 11360
733 방심위 '김어준의 뉴스공장' 법정제재 '주의' 조치 file 이원우기자 2022.11.22 5209
732 예산안 반영됐음에도 불구하고 시위 지속하는 전장연, 국민들의 불만은 커져만 간다 file 이원우기자 2022.11.21 12414
731 하라는 보호관찰은 안 하고, 보호관찰 대상자와 동거, 성관계 맺어온 보호관찰관 A씨 징역 2년 선고 file 이원우기자 2022.11.19 22406
730 이임재 전 서장 "참사 당일 경비 기동대 요청", 특수본 "확인된 바 없다, 직원들 간 진술 엇갈려" 누가 거짓말을 하고 있나 file 이원우기자 2022.11.18 6680
729 라임에 이어 또! 법원의 이상한 결정, 김만배 남욱 구속 연장 불허. 21일, 24일 풀려난다 file 이원우기자 2022.11.18 11886
728 참사 희생자 명단 일방적으로 공개한 민들레, "본인 확인돼야 명단 삭제" file 이원우기자 2022.11.17 21555
727 검찰, 청탁금지법 위반으로 박영수 전 특검 등 불구속 기소 결정. file 이원우기자 2022.11.14 13205
726 검찰의 거듭된 구속 영장 청구 기각한 법원, 라임 몸통 김봉현 어디로 갔나. file 이원우기자 2022.11.14 7510
725 친야 성향 '더탐사', '민들레' 유족 동의 없이 이태원 참사 희생자 명단공개 file 이원우기자 2022.11.14 15173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55 Next
/ 55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