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25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피라TV]
 

70.jpg

<사진출처 : newsis>

 

이명박 전 대통령이 4대강 사업 과정에서 국토부에 '수심을 6m로, 수자원은 8t으로 설정하라'고 지시하면서도 그와 관련한 근거는 제시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국토부는 이러한 내용으로 이 전 대통령으로부터 4대강 사업 세부계획에 대해 반복적인 지시를 받자, 그 타당성이나 근거에 대한 분석없이 그대로 사업을 추진한 것으로 감사 결과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이 전 대통령이 4대강 사업을 추진하면서 추후 대운하사업을 염두에 둔 게 아니냐는 추론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감사원은 운하사업과의 연관성 여부에는 즉답을 피했다.

 감사원은 4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4대강 살리기 사업 추진실태 점검 및 성과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감사원은 보고서에서 이 전 대통령이 국토부가 제시한 사업추진 의견을 고려하지 않고, 수심과 수자원 규모에 자신의 뜻을 반영하라고 누차 지시한 정황을 담았다. 

 4대강 사업은 이 전 대통령이 대운하 사업의 중단을 선언한 지 2개월 후인 2008년 8월 국토부 장관에게 하천정비 사업을 추진하라는 지시하며 본격화됐다. 국토부는 이를 수용하며 같은 해 제방 보강과 준설 사업계획을 보고했다.

 국토부 보고를 받은 이 전 대통령은 처음부터 '보(洑) 설치를 통한 수자원 확보' '가장 깊은 곳 수심을 5∼6m로 굴착'을 강조했다. 또 대통령직 인수위 한반도대운하TF팀 용역자료 성과물을 마스터플랜에 반영할 것을 지시했다. 운하사업을 위해 만든 이 용역자료에서는 선박 통행에 용이하도록 강바닥 수심 목표를 6m로 설정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자 국토부는 같은 해 12월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를 발표하며 쟁점사항인 수심을 결정하지 않았다. 국토부는 이후 '준설과 보 설치만으로는 수자원 확보의 근본대안이 되지 않는다'는 내용의 대통령 보고를 준비했으나 장관의 반대로 하지 못했다.
  
 이후 국토부는 2009년 2월 "최소수심이 2.5∼3m면 홍수 예방이나 물 부족 대처에 충분하고, 추후 3∼4m만 추가 준설하면 기술·경제적 어려움 없이 운하를 추진할 수 있다"고 이 전 대통령에게 최종 보고했다.

 

그러나 이 전 대통령은 국토부의 보고 직후에는 최소수심 3∼4m로 할 것을, 다음 날에는 다시 4∼5m로 할 것을 직접 지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통령실은 4대강 사업 마스터플랜 중간발표를 앞둔 4월 중순까지도 국토부에 물그릇(수자원 확보량)을 8억t으로 늘리라고 당부했고, 이 전 대통령도 낙동강의 최소수심을 6m로 하라는 추가 지시를 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국토부는 같은 해 4월24일 이 전 대통령에게 '낙동강 최소수심은 4m∼6m, 그 외의 강은 2.5∼3m까지 준설하고, 보를 16개 설치해 총 7억6000t의 수자원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을 보고해 수락받았으며, 이 내용대로 마스터플랜은 확정됐다.

 감사원은 주무부처인 이 전 대통령이 '얕은 수심으로도 홍수 예방이 가능하며, 보는 연중 일정한 수심을 유지해야 해 수자원 확보 대안이 되지 못한다'는 국토부의 정책 검토를 만류하고 '6m 수심' '신규 보 설치' '8t 물그릇'을 반복적으로 지시한 의도와 근거를 확인하고자 지난해 11월 이 전 대통령의 집무실을 두 차례 찾았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 전 대통령이 방문조사와 설문조사에 협조하지 않았고, 감사 결과에 이를 담을 수 없었다고 밝혔다. 감사원 관계자는 "당시 청와대 인사는 감사 과정에서 '대통령이 운하에 관심을 많이 가졌다'고 표현했다. 그 외에 이 전 대통령의 판단 근거를 추정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스피라TV 박동혁기자


< 저작권자 ⓒ 스피라티비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49 이준석·안철수 '윤석열 X파일' 공개하지 않으면 정치공작' file 스피라통신 2021.06.21 13363
748 이준석-윤석열 첫 대면, 마주 잡은 두 손 file 스피라통신 2021.06.30 9759
747 이준석, 첫 주말 당직인선 고심... 사무총장엔 권성동·박진 거론 file 스피라통신 2021.06.12 11638
746 이준석, 장애인 시위 향해 '장애인이라서 선자도 약자도 아니다' file 스피라통신 2022.03.26 8460
745 이준석, 윤석열에 경고... '잘못 생각해 주도권 싸움 나서면 갈수록 태산' file 스피라통신 2021.08.09 10332
744 이준석, 윤석열 대통령 당무 개입 논란 정면 비판 "원래 끼면 안 되는 분 개입" file 이원우기자 2023.02.08 10071
743 이준석, 선대위 모든 직책 사퇴... 野, 최악의 자중지란 file 스피라통신 2021.12.21 11440
742 이준석, 국민의힘 '위장 사퇴 쇼'에 "계속되는 절대반지를 향한 탐욕" 맹비난 file 스피라TV통신 2022.08.03 12725
741 이준석, 安 겨냥 '장사 그만하길… 조롱은 내가 하지만 협박은 님들이 하고 있다' file 스피라통신 2022.02.21 9984
740 이준석 징계에 윤심 작용했나, 윤 "내부 총질이나 하던 대표" 문자 노출 file 스피라TV통신 2022.07.27 12171
739 이준석 전 대표 윤 정부 향해 "방향성 알 수 없어" file 엽기자 2023.06.30 10204
738 이준석 당원 자격 정지 징계에도 불구, 차기 당대표 적합도 1위 file 스피라TV통신 2022.07.22 12435
737 이준석 “한동훈 與 당대표 나오는 건 위험” file 김성은기자 2024.04.18 212
736 이준석 "당 대표 물러날 생각 없다" 징계 결정 불복 의사 밝혀. file 스피라TV통신 2022.07.09 12485
735 이종섭 장관 "故 이예람 중사 사건 전익수 공군 법무실장 징계 및 업무배제 추진 중" file 이원우기자 2022.10.17 4989
734 이젠 최저임금 '한판 승부'... 1만800원 vs 8720원 무게추 어디로 file 스피라통신 2021.07.05 14731
733 이정현 '탄핵 강행하면 장 지진다고? ....그렇게 말 한 적 없다!' file 김재덕기자 2016.12.06 1793
732 이재명·윤석열 맞짱토론 또 무산 file 스피라통신 2021.12.20 12447
731 이재명, 윤 대통령에게 '취학연령 하향 철회해야' file 스피라TV통신 2022.08.03 12746
730 이재명, 서울시 경계경보 오발령에 "이 정도면 무능" 맹비난 file 엽기자 2023.05.31 4528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46 Next
/ 46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