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24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피라TV]

 

20171031z.jpg

 

대법원이 과거사 재심 사건에서 검찰 내부 방침을 어기고 무죄를 구형해 징계를 받은 임은정 검사에 대해 징계 취소를 확정했다. 이후 대검찰청에서 임 검사에 대한 징계를 재청구할지 관심이 쏠린다. 



대법원 특별3부(주심 이기택 대법관)는 31일 임 검사가 법무부 장관을 상대로 낸 징계처분 취소 소송의 상고심에서 징계를 취소하라는 원심 판결을 받아들였다. 지난 2014년 12월1일 대법원에 상고된 지 2년11개월여만에 내려진결론이다.

지난 2012년 12월 임 검사는 서울중앙지검 공판2부 소속으로 근무하던 중 반공법 위반 혐의로 징역 15년이 확정된 고(故) 윤길중 진보당 간사의 과거사 재심 사건에서 검찰 내부 방침을 어기고 무죄를 구형했다. 당시 검찰 내부에서는 "법과 원칙에 따라 적절하게 선고해달라"는 이른바 '백지구형'을 할 것을 방침으로 정한 상태였다. 


구형 당일 임 검사는 당일 법정으로 통하는 검사 출입문에 "무죄를 구형하겠다"는 쪽지를 붙이고 백지구형을 할 검사가 오지 못하도록 문을 잠근 채 무죄를 구형했다. 또 검찰 내부 게시판에 "재심사건 무죄 구형은 의무라고 확신한다"며 무죄 구형을 하게 된 경위와 그에 관한 의견을 담은 '징계청원' 글을 올리기도 했다. 

이후 법무부는 2013년 2월 임 검사에게 검찰 상부 지시를 어겼다는 이유 등을 들며 정직 4개월의 징계를 내렸다. 법무부는 △무죄 구형을 한 것 △게시판에 글을 올린 것 △선고 당일 무죄 구형 후 12시쯤 퇴근한 것(오후 연차를 냈으나 2시부터 퇴근 가능) 등을 징계 사유로 들었다. 이에 임 검사는 자신의 징계가 잘못됐다며 징계 처분 취소 소송을 제기했다.

1심 재판부는 "무죄구형은 상급자의 지휘와 감독에 따르지 않은 행위로 징계사유에 해당하고 14:00 이전에 퇴근한 행위는 근무시간 위반으로 징계사유에 해당한다"면서도 "글을 게시한 행위가 검찰 조직 내부에 혼란을 일으키거나 검찰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훼손하여 검사의 체면이나 위신을 손상하는 행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으므로 징계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봤다. 


그러면서 재판부는 "비위 정도에 비춰 정직 4개월은 상당히 높은 중징계로 지나치게 과중해 재량권을 일탈·남용했다"며 징계가 지나치게 무거워 이를 취소하라면서 원고 승소 판결했다.

반면 2심 재판부는 "직무이전명령은 권한 없는 자에 의해 이뤄져 위법하므로 임 검사는 재심사건의 검사로 직무를 수행할 권한이 있고 의견을 진술할 수 있다"며 "백지 구형이 상급자의 적법한 지시라고 할 수 없어 이를 따를 의무가 없는 이상 무죄 의견을 진술한 행위를 징계사유로 삼을 수 없다"고 봤다.


이어 2심 재판부는 "근무시간을 지키지 않은 근무시간 위반은 정당한 징계 사유이지만, 처분은 그 비위 정도에 비해 지나치게 과중해 재량권을 일탈·남용한 것"이라고 보고 1심 판결을 받아들였다.


대법원은 "공판관여 업무를 다른 검사로 하여금 담당하게 하라는 공판 부장의 직무상 지시는 위법하므로 위 지시에 따르지 않았다는 점을 징계사유로 삼을 수 없다"면서 "검찰 내부게시판에 글을 게시한 행위도 검사의 체면이나 위신을 손상하는 행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어 이를 징계사유로 삼을 수 없다"고 봤다. 


이어 대법원은 "다만 근무시간 위반의 점만을 징계사유로 인정할 수 있는데 그 징계 사유만으로 정직 4개월의 징계처분을 한 것은 위반의 내용과 그로 인한 영향의 정도, 임 검사의 직위와 그 동안의 행적 및 근무성적, 징계처분으로 인한 불이익의 정도 등 여러 사정을 종합해 볼 때 비위 정도에 비해 지나치게 과중해 재량권을 일탈남용한 위법이 있다"면서 징계처분을 취소한 원심 판결을 그대로 확정했다. 

앞서 법무부 법무·검찰개혁위원회는 과거사 재심 사건에서 무죄를 구형했다가 징계처분을 받은 임 검사에 대한 징계조치를 시정하라고 권고한 바 있다. 그러나 이번 판결로 임 검사에 대한 징계 처분 자체가 소멸돼 이미 소멸된 징계 처분을 철회하거나 취소하는 조치가 따로 이뤄질 필요는 없다. 


다만 대검에서 임 검사에 대한 징계를 다시 청구할 가능성도 남아 있다. 대법원 판결 취지에서도 근무시간 위반에 대해서는 정당한 징계 사유라고 하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징계가 다시 내려질 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

 

스피라TV 박동혁기자

 

< 저작권자 ⓒ 스피라티비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44 수많은 ‘미투’에도 우리는 ‘침묵’했다 JUNE 2018.01.31 5012
743 수도권에 7일 고농도 미세먼지에 '비상저감조치' 발령 file 스피라통신 2018.11.06 4870
742 수도권 모든 학교 15일부터 '셧다운'... '3단계 준하는 학사 운영' file 스피라통신 2020.12.14 13546
741 수도권 교회 확진 '눈덩이'..사랑제일교회 감염 134명으로 급증 file 스피라통신 2020.08.15 13470
740 쇄골·갈비뼈 골절, 뱃속엔 600㎖ 출혈... 정인이 이 몸으로 하늘나라 갔다 file 스피라통신 2021.01.07 12422
739 송종국, '이혼', '불륜설'... 추측성 루머의 증거들과 상처입는 아이들 file SPIRRATVNA 2015.10.12 366
738 송영길 전 보좌관, 송도아메리칸타운 2단계 사업 당시 66억 배임 혐의로 피소 file 이원우기자 2023.04.25 18149
737 손준성, '공수처 압수수색 적법' 결정에 재항고 file 스피라TV통신 2022.07.20 12788
736 손정민 父, 경찰 발표서 목격자 진술 의문 제기... 경찰 '조사 통해 확인된 내용' file 스피라통신 2021.05.30 12641
735 손석희 '긴 싸움 시작할 것 같다…흔들리지 않을 것' file 스피라통신 2019.01.28 6242
734 소방관이 유증기 가득한 주유소서 담배 '뻑뻑' file 김성은기자 2024.02.01 3
733 세월호 희화 논란, 이영자 녹화 불참 file 스피라통신 2018.05.11 4111
732 세월호 수색 민간 잠수사 사망 책임은 해경 말고 민간 잠수사 감독관? file 스피라TVPOLABEAR 2015.09.15 46
731 세아재강 해고자 양화대교 아치 구조물 1인 시위 file 스피라TV지현영기자 2016.03.24 91
730 세금 체납, 황제병역, 갑질의 황제! 한솔그룹 file 최고운영자 2016.12.30 218
729 세계서 들끓는 반중 정서, 어떻게 시작됐나 file 스피라통신 2022.02.19 12737
728 성폭력 부인했지만…‘오달수 피해자’ 또 나왔다 JUNE 2018.02.27 5990
727 성탄절 옷장 시신, 실종 신고된 60대 택시기사로 밝혀져 file 이원우기자 2022.12.26 1632
726 성매수남 개인정보 460만건 유출한 일당 덜미, 각종 범죄에 이용된 개인정보 file 이원우기자 2023.06.22 13362
725 성룡, 혼외딸 질문에 귀 막고 묵묵부답 hiphip 2018.05.14 5010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55 Next
/ 55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