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식’ 접은 美… 북·미회담 불씨 살리기

by 스피라기자 posted May 17, 201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80517004038_0_20180517184808806.jpg?t

<사진출처 : 세계일보>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는 ‘리비아 모델’이 아닌 ‘트럼프 모델’에 따른 비핵화를 추진하겠다며 북한을 무마하고 있다.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시사한 ‘선 핵 폐기 후 보상’의 리비아식 비핵화에 북한이 강력히 반발하면서 6·12 북·미 정상회담이 무산될 수 있다고 위협했기 때문이다. 서로 ‘샅바 싸움’을 하더라도 ‘판을 깨지는 말자’는 게 미국의 대북 메시지인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 연합 군사훈련을 취소할지 묻는 말에도 “우리는 아무것도 보지 못했으며, 아무것도 듣지 못했다”고 말해 북한이 문제를 제기한 맥스선더 훈련을 일정대로 계속하겠다는 뜻을 우회적으로 밝혔다. 여전히 한반도 비핵화 입장을 고수하느냐는 물음에는 “그렇다”고 말해 비핵화 원칙이 흔들려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샌더스 대변인은 “이것은 ‘트럼프 대통령의 모델’이다”면서 “대통령은 이것을 자신이 적합하다고 보는 방식으로 운영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핵 개발을 포기한 특정 국가 모델에 짜 맞추지 않고, 전혀 새로운 접근법을 동원하겠다는 뜻이다. 백악관은 또한 북한의 반발에 미국이 맞불을 놓기보다는 진화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샌더스 대변인은 “북한이 만나길 원한다면 우리는 준비가 돼 있을 것이고, 그들이 만나지 않길 원한다면 그것도 괜찮다”고 설명했다. 만약 북한이 끝내 회담을 무산시키면 대북 압박 캠페인을 강화하겠는 게 미국의 단호한 입장이다. 샌더스 대변인은 “우리는 회담이 열릴 것으로 기대하고, 계속 전진할 것”이라고 무산 가능성을 일축했다.

볼턴 보좌관은 이날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성공적인 북·미 정상회담을 위해 모든 시도를 할 것이지만, 회담의 목적인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CVID)를 버리지 않을 것”이라고 불퇴전의 자세를 보였다. 아울러 “북한이 핵무기가 없어야 더 안전하다는 전략적 결단을 내리지 않으면 트럼프 대통령이 싱가포르에서 꽤 짧은 회담을 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스피라TV 스피라기자

 

< 저작권자 ⓒ 스피라티비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rticles

4 5 6 7 8 9 10 1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