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wrtFileImageView.jpg

 

[씨티경제/김성은 기자] 4·10 총선 당선인들의 평균연령은 56.3세고, 연령별로는 50대가 전체 의석의 절반 가량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2대 국회에 입성한 여성 당선인은 60명으로 역대 최다치를 기록했다.

 

11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당선자들의 연령대 중 50대가 150명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60대 100명(33.3%), 40대 30명(10.0%), 30대 14명(4.7%), 70대 5명(1.7%), 80대 1명(0.3%) 순이다. 20대 당선인은 없었다.

 

22대 총선 최고령 당선인은 더불어민주당 박지원 전 의원으로 1942년생 81세, 최연소 당선인은 민주당 전용기 의원으로 1991년생 32세다. 30대 당선인 14명 중 국민의힘과 국민의미래 소속이 5명, 민주당과 민주연합 소속이 7명이었다. 나머지 2명은 개혁신당의 이준석·천하람 당선인이다.

 

선수별로 보면 최다선인 6선은 총 4명(1.3%)으로 국민의힘과 민주당이 각각 2명씩이었다. 국민의힘에서는 조경태·주호영 의원이, 민주당에서는 추미애·조정식 의원이 해당된다. 그 뒤를 잇는 5선은 13명(4.3%), 4선은 24명(8.0%), 3선은 47명(15.7%)이었다. 재선 의원은 77명(25.7%)이다. 비례대표 의원 중에는 국민의미래 김예지, 더불어민주연합 용혜인 의원이 나란히 비례 재선이 됐다.

 

초선 의원은 비례대표 44명을 포함해 총 135명(45.0%)으로 가장 많았다. 21대 총선 당시 155명과 비교하면 초선 의원 수가 줄었다.

 

당선인 300명 중 여성은 역대 최다인 60명(20%), 남성은 240명(80%)이다. 지난 21대 총선의 57명보다 3명 늘었다.

 

직업별로 보면 현역 국회의원이 143명, 정치인 80명, 변호사 23명 등이다. 학력별로는 대학원 졸업이 157명으로 가장 많았고, 대졸 110명, 대학원수료 29명이었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일인 10일 오전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진문화예술회관에 마련된 자양3동 제7투표소에서 유권자들이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고 있다. 박종민 기자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일인 10일 오전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진문화예술회관에 마련된 자양3동 제7투표소에서 유권자들이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고 있다. 박종민 기자

 

재산 규모로는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이 신고액 1401억 3500만 원으로 가장 재산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국민의힘 박덕흠(562억 7800만 원), 국민의힘 백종헌(355억 9천만 원), 더불어민주당 박정(351억 7천만 원) 의원, 국민의힘 박수민(315억 6200만 원) 당선인 등이 뒤를 이었다.

 

100억 원 이상 자산가는 10명이다. 50억 이상 100억 원 미만은 20명, 10억 원 이상 50억 원 미만은 전체의 절반 이상인 176명으로 나타났다.

 

자산보다 부채가 많아 재산 신고액이 '마이너스'인 의원은 민주당 진선미(-8억 9400만 원) 의원과 민주당 정준호(-4억 7900만 원) 당선인, 민주당 차지호(-6400만 원) 당선인, 민주당 김민석(-5900만 원) 의원, 국민의미래 박충권(-5400만 원) 당선인 등 5명이었다.

 

전과기록이 가장 많은 당선인은 민주당 신정훈(나주 화순) 의원이다. 신 의원은 특수 공무집행방해 치상죄로 징역 3년을 선고 받는 등 5건의 전과가 있었다. 이어 민주당 김민석·서영석 의원, 조국혁신당 신장식 당선인 등 3명이 4건의 전과 기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당선인 240명 가운데 군복무를 마친 이는 196명(81.6%)이었고, 병역미필은 44명(18.3%)이었다. 강선영 전 육군항공작전사령관이 여성 당선인 중 유일하게 군 복무를 마쳤다.

 

최근 5년간 체납액이 가장 많은 사람은 민주당 주철현(1억 1600만 원) 의원이었다. 주 의원은 300명의 당선인 중 유일하게 현 체납액(5600만 원)이 있었다. 이어 민주당 양문석(3천만원), 민주당 이상식(926만원) 당선인이 뒤를 이었다. 최근 5년 내 체납액이 기록된 후보는 26명이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 北-美 극한 대치 상황 속…靑, 마땅한 해결책 없어 file 최고운영자 2017.08.10 3
28 합참의장에 정경두 공군총장 등 대장 7명 교체···23년만에 공군 의장 file 최고운영자 2017.08.08 2
27 文대통령 인사논란에 '양해'표명... 입장견지와 요구수용 file 운영자09 2017.05.30 91
26 '文'대통령 계속해서 인사... 사저에서 김정숙 여서와 청와대로 file 운영자09 2017.05.12 122
25 文대통령 오늘 아베와 통화하나... file 운영자09 2017.05.11 61
24 3차 대선토론 '날선공방' 여전... file 운영자09 2017.04.24 63
23 19대 대선 후보 2차 TV토론 '날세운 공방' file 운영자09 2017.04.20 77
22 블랙리스트. 인사개입등 5개혐의 추가된... file 운영자09 2017.03.07 57
21 28일 특검 공식적인 종료... 黃권한대행, 특검연장 불승인 file 운영자09 2017.02.27 77
20 박근혜 대통령 대면조사 일정 불발 file 운영자09 2017.02.09 58
19 반기문 대선 불참선언 '인격 살인에 가까운 음해' file 운영자09 2017.02.02 34
18 유재경 미얀마 대사, 최순실 추천 대사 임명 인정 file 운영자09 2017.01.31 72
17 '화이트리스트' 운용 포착 file 운영자09 2017.01.25 66
16 최순실-장시호, 공판에서 눈도 마주치지 않아.. file 운영자09 2017.01.17 7
15 국정원 댓글사건 폭로 전 국정원 직원 대법서 '무죄' file 최고운영자 2016.12.27 36
14 속 없는 만두 청문회 인증, 우병우 완벽 승 file 최고운영자 2016.12.22 5646
13 이정현 '탄핵 강행하면 장 지진다고? ....그렇게 말 한 적 없다!' file 김재덕기자 2016.12.06 1793
12 청와대 의무실장 위증? 백옥주사 맞았지만 미용목적은 아냐 file 김재덕기자 2016.12.06 784
11 검찰 비리 손에 쥔 박근혜 대통령의 반격! '퉁치기' 의혹 file 최고운영자 2016.12.04 9613
10 역시 또 철수? 국민의당 2일 탄핵 불가 선언 file 최고운영자 2016.12.01 1322
Board Pagination Prev 1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Next
/ 46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