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wrtFileImageView.jpg

 

[씨티경제/김성은 기자] 4·10 총선 당선인들의 평균연령은 56.3세고, 연령별로는 50대가 전체 의석의 절반 가량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2대 국회에 입성한 여성 당선인은 60명으로 역대 최다치를 기록했다.

 

11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당선자들의 연령대 중 50대가 150명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60대 100명(33.3%), 40대 30명(10.0%), 30대 14명(4.7%), 70대 5명(1.7%), 80대 1명(0.3%) 순이다. 20대 당선인은 없었다.

 

22대 총선 최고령 당선인은 더불어민주당 박지원 전 의원으로 1942년생 81세, 최연소 당선인은 민주당 전용기 의원으로 1991년생 32세다. 30대 당선인 14명 중 국민의힘과 국민의미래 소속이 5명, 민주당과 민주연합 소속이 7명이었다. 나머지 2명은 개혁신당의 이준석·천하람 당선인이다.

 

선수별로 보면 최다선인 6선은 총 4명(1.3%)으로 국민의힘과 민주당이 각각 2명씩이었다. 국민의힘에서는 조경태·주호영 의원이, 민주당에서는 추미애·조정식 의원이 해당된다. 그 뒤를 잇는 5선은 13명(4.3%), 4선은 24명(8.0%), 3선은 47명(15.7%)이었다. 재선 의원은 77명(25.7%)이다. 비례대표 의원 중에는 국민의미래 김예지, 더불어민주연합 용혜인 의원이 나란히 비례 재선이 됐다.

 

초선 의원은 비례대표 44명을 포함해 총 135명(45.0%)으로 가장 많았다. 21대 총선 당시 155명과 비교하면 초선 의원 수가 줄었다.

 

당선인 300명 중 여성은 역대 최다인 60명(20%), 남성은 240명(80%)이다. 지난 21대 총선의 57명보다 3명 늘었다.

 

직업별로 보면 현역 국회의원이 143명, 정치인 80명, 변호사 23명 등이다. 학력별로는 대학원 졸업이 157명으로 가장 많았고, 대졸 110명, 대학원수료 29명이었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일인 10일 오전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진문화예술회관에 마련된 자양3동 제7투표소에서 유권자들이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고 있다. 박종민 기자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일인 10일 오전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진문화예술회관에 마련된 자양3동 제7투표소에서 유권자들이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고 있다. 박종민 기자

 

재산 규모로는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이 신고액 1401억 3500만 원으로 가장 재산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국민의힘 박덕흠(562억 7800만 원), 국민의힘 백종헌(355억 9천만 원), 더불어민주당 박정(351억 7천만 원) 의원, 국민의힘 박수민(315억 6200만 원) 당선인 등이 뒤를 이었다.

 

100억 원 이상 자산가는 10명이다. 50억 이상 100억 원 미만은 20명, 10억 원 이상 50억 원 미만은 전체의 절반 이상인 176명으로 나타났다.

 

자산보다 부채가 많아 재산 신고액이 '마이너스'인 의원은 민주당 진선미(-8억 9400만 원) 의원과 민주당 정준호(-4억 7900만 원) 당선인, 민주당 차지호(-6400만 원) 당선인, 민주당 김민석(-5900만 원) 의원, 국민의미래 박충권(-5400만 원) 당선인 등 5명이었다.

 

전과기록이 가장 많은 당선인은 민주당 신정훈(나주 화순) 의원이다. 신 의원은 특수 공무집행방해 치상죄로 징역 3년을 선고 받는 등 5건의 전과가 있었다. 이어 민주당 김민석·서영석 의원, 조국혁신당 신장식 당선인 등 3명이 4건의 전과 기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당선인 240명 가운데 군복무를 마친 이는 196명(81.6%)이었고, 병역미필은 44명(18.3%)이었다. 강선영 전 육군항공작전사령관이 여성 당선인 중 유일하게 군 복무를 마쳤다.

 

최근 5년간 체납액이 가장 많은 사람은 민주당 주철현(1억 1600만 원) 의원이었다. 주 의원은 300명의 당선인 중 유일하게 현 체납액(5600만 원)이 있었다. 이어 민주당 양문석(3천만원), 민주당 이상식(926만원) 당선인이 뒤를 이었다. 최근 5년 내 체납액이 기록된 후보는 26명이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22대 총선> 당선인 평균연령 56.3세…여성 '60명' 역대 최다 file 김성은기자 2024.04.11 234
908 "'쉬운 수능'이 아닌, 공교육 교과 과정으로 변별력 갖추라는 것" 국민의힘 쉬운 수능 논란 전면 반박 file 엽기자 2023.06.19 11364
907 "300만원은 실무자 한끼 식대 수준" 막말 정성호 의원, 논란 일자 사과 file 이원우기자 2023.04.19 11593
906 "내가 타야하니 20분은 괜찮아", '골든타임 4분' 외치던 신현영 의원식 '내로남불' file 이원우기자 2022.12.22 7733
905 "론스타에 95% 승소" 법무부 주장은 '대체로 거짓' 1 file 스피라통신 2022.09.03 14603
904 "이재명 대표 아들이 천화동인 직원"이라고 주장한 장기표, 1심에서 벌금 700만원형 선고 받아 file 이원우기자 2023.02.08 11365
903 "제2의 전용기사태", 검찰 출입구 봉쇄하며 정진상 변호인 및 민주당 측 기자회견 거부 file 이원우기자 2022.11.19 12194
902 '180표 턱걸이' 강제 종료된 필리버스터... 반대하던 1명, 막판 '찬성표' file 스피라통신 2020.12.14 10353
901 '2차 북-미 정상회담 이달 27~28일 베트남' file 스피라통신 2019.02.07 5589
900 '5.18 망언' 김재원 여당도 손절 "해당 발언 적절치 않았다" file 이원우기자 2023.03.14 15816
899 '50억 클럽' 곽상도 전 의원 무죄 판결에, 조응천 의원 "대장동 수사 헛돌것" file 이원우기자 2023.02.09 25581
898 '5·18 망언' 한국당 이종명 제명…김진태·김순례 징계유예 file 스피라통신 2019.02.14 6287
897 '尹인연' 주기환 아들 대통령실 근무 논란... 대통령실 '정권 교체 공헌' file 스피라통신 2022.07.19 12668
896 '文 대통령' 고용지표 악화 대응책 마련에 '부심' file 스피라통신 2018.08.19 8030
895 '文'대통령 계속해서 인사... 사저에서 김정숙 여서와 청와대로 file 운영자09 2017.05.12 122
894 '文, 저딴게 대통령' 한국당 김준교 후보…‘짝’ 출연 이력 화제 file 스피라통신 2019.02.19 5371
893 '文대통령 거부하더니'... 日스가, 올림픽 정상회담 참담한 성적표 file 스피라통신 2021.07.21 13844
892 '日의 실수 될것'..文대통령 '한일관계 새판'까지 열어두고 역공 file 스피라통신 2019.07.15 5171
891 '韓이 너무 컸다?' 日 언론이 본 갈등 해결 어려운 이유 file 스피라통신 2019.08.03 5800
890 '개혁 앞서 조직 장악부터'..조국, 검찰 물갈이 나서나 file 스피라통신 2019.09.09 597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6 Next
/ 46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