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피라TV]

 

 

이준석 당대표, 박지현 전 비대위원장.jpg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좌), 박지현 전 더불이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우) 사진 출처:연합뉴스>

 

여야에서 '청년 정치인'으로 나란히 주목받던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37)와 박지현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26)이 위기를 맞고 있다. 정치권이 선거 때만 청년을 이용했다는 비판과 함께 청년 정치의 한계를 보여줬다는 해석도 나온다.

 

이 대표는 헌정사상 첫 '30대 당 대표'가 된 지 1년여 만인 지난 8일 중앙윤리위원회에서 성 상납 증거인멸 교사 의혹으로 '당원권 6개월 정지'라는 중징계를 받았다. 집권 여당 대표가 중징계를 받은 것은 사상 초유의 일이다.

 

앞서 박 전 위원장은 오는 8월 민주당 전당대회에 출마하겠다고 했지만 당 지도부는 '피선거권이 없다'는 이유로 박 전 위원장의 출마를 불허했다.

 

이 대표와 박 전 위원장은 정치권의 세대교체 기대를 한 몸에 받으며 등장했고, 최근 선거에서 큰 역할을 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1985년생인 이 대표는 2011년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발탁돼 26세 나이로 정치에 입문했다. 그는 20대 총선과 2018년 재보궐선거, 21대 총선에서 서울 노원병에 출마해 3차례 모두 낙선했지만, 지난해 6월 전당대회에서 '30대·0선 당 대표'가 되는 데 성공했다.

특히 국민의힘은 이 대표 취임 이후 2030 남성들로부터 압도적인 지지를 받기도 했다.

 

이 대표는 2012년 대선 이후 전국단위 선거에서 잇따라 패배를 맛본 국민의힘에게 지난해 4·7 보궐선거와 지난 3·9 대통령선거, 6·1 지방선거 '3연승'을 안겨줬다는 평가를 받는다.

 

'n번방' 문제를 처음 공론화한 ‘추적단의불꽃’ 출신인 박 전 위원장 역시 지난 대선에서 이재명 당시 민주당 대통령 후보를 지지선언하며 2030 여성 표심을 잡는 역할을 했다. 박 전 위원장은 대선 이후 민주당 공동비대위원장을 맡아 지방선거까지 당을 이끌었다.

 

이처럼 선거를 이끌었던 청년 정치인들이 선거 이후 위기를 맞으면서 '정치권이 선거 때만 청년을 이용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 대표와 박 전 위원장도 이 같은 상황을 두고 '토사구팽'이라고 비판하고 나섰다.

 

이 대표는 전날 윤리위에 출석하면서 기자들과 만나 "선거 기간 동안 목이 상해 스테로이드를 먹어 몸이 부었다. 왜 이렇게 살이 쪘냐는 놀림까지 받아 가면서 선거를 뛰었다"며 "선거에서 승리하고도 어느 누구에게도 축하받지 못했고, 어느 누구에게도 대접받지 못했다"고 말하며 울먹이기도 했다.

 

박 전 위원장도 전당대회 출마가 불허되자 페이스북에 "민주당이 저를 계륵 취급하고 있다"며 "토사구팽에 굴하지 않겠다"고 썼다.

 

전문가들은 이 대표가 친윤계와 갈등을 겪었고, 박 전 위원장은 친명계의 공격을 받았다는 점에서 MZ세대와 기성 정치권의 갈등을 극명하게 드러냈다고 평가했다.

 

이 대표는 정진석 의원, 안철수 의원 등과 잇달아 각을 세웠고, 박 전 위원장 역시 '86용퇴론'과 박완주·최강욱 의원의 징계 등을 주장하면서 당내 반발에 부딪혔다.

특히 이들이 직접적인 소통보다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를 통해 일방적으로 입장을 표명하면서 갈등을 키웠다는 지적도 있다.

 

엄경영 시대정신연구소장은 이들의 위기를 보고 "(이 대표와 박 전 위원장) 본인들이 자초한 측면도 있다"며 "기성 정치권과 조화를 이루거나 화합하려 하지 않고 본인의 정치색을 가감 없이 드러내면서 스스로 고립된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이 대표와 박 전 위원장) 둘 다 여전히 가능성은 남아있다"며 "지금의 난관을 어떻게 이겨내느냐에 따라 새로운 정치 여정을 시작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하지만, 이 대표와 박 전 위원장의 사례는 개별 정치인의 도덕성과 역량 문제이지 전체 '청년 정치'의 한계로 볼 수 없다는 시각도 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이 대표와 박 전 위원장 모두 당내 입지가 불안정하긴 했지만, 이 대표는 성 상납 의혹이 문제였고 박 전 위원장은 정치인으로서 갖춰야 할 설득력이 없어 신뢰를 잃었다"며 개별 정치인으로서 책임이 더 크다고 평가했다.

 

박 평론가는 "청년 정치인은 기존의 구태에서 벗어난 신선함과 청렴한 도덕성에 더해 미래세대로서의 비전을 요구받고 있다"며 "하지만 동시에 정치인인 만큼 자신의 발언이 정치권에 일으킬 파장과 국민적 정서를 고려하는 진중함과 설득력을 갖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스피라TV 김준엽 기자 Junyub95@gmail.com

 

<저작권자 ⓒ 스피라티비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49 '산재'라며 50억 받은 곽상도 아들, 조기축구 활발한 활동 file 스피라통신 2021.09.29 12270
548 정부, 여당 "예비군으로 결석한 학생 불리한 처우 안 받게 한다" file 엽기자 2023.06.28 12269
547 [6.1지선]이재명 선대위원장 '수도권, 충청 해볼 만하다는 거 자체도 이례적인 일' file 스피라TV통신 2022.05.16 12250
546 '윤석열 징계위' 결론 못내… 15일 속개하기로 file 스피라통신 2020.12.10 12237
545 윤석열 '법무장관 檢지휘권 폐지' file 스피라통신 2022.02.14 12236
544 대법원 임금피크제 관련 '정년 늘린 기간 임급삭감 차별 아니다' 판결에 노동자들 집단분노! file 스피라TV통신 2022.05.31 12221
543 [6.1지선] 대전,충남,강원 접전, 충북 국민의힘 우세 file 스피라TV통신 2022.05.17 12215
542 민주당, 전당대회 예비경선 시작 이재명 "이기는 민주당 만들어 책임질 것" file 스피라TV통신 2022.07.29 12204
541 민주당 극에 달한 계파 갈등 '집단지도체제'로 봉합 될까 file 스피라TV통신 2022.06.09 12203
540 이상민 의원, 당대표 출마 이재명, 박지현 동시 저격 "둘 다 똑같이 궤변 너무 염치가 없다" file 스피라TV통신 2022.07.05 12201
539 민주당 발의 '국회법 개정안'에 윤 대통령 사실상 반대 의사 file 스피라TV통신 2022.06.14 12199
538 여권 '아빠찬스' 정호영 자진사퇴 해야. 윤석열 대통령은 '시간 더 필요하다.' 공정과 상식은 어디로 갔나 file 스피라TV통신 2022.05.23 12199
537 '내부총질'문자 거센 후폭풍, 국민의힘 게시판에 권성동 아웃 도배 file 스피라TV통신 2022.07.28 12197
536 "제2의 전용기사태", 검찰 출입구 봉쇄하며 정진상 변호인 및 민주당 측 기자회견 거부 file 이원우기자 2022.11.19 12193
535 '한동훈 명예훼손' 1심 벌금형에 검찰, 유시민 쌍방 항소 file 스피라TV통신 2022.06.15 12192
534 교육부 킬러문항 22개 공개, 공교육 만으로는 절대 못 푼다! file 이원우기자 2023.06.27 12190
533 검찰의 민주연구원 압수수색에 더불어민주당 사실상 '국감 보이콧', 압수수색이 집어삼킨 국감 file 이원우기자 2022.10.24 12188
532 박지현 비대위원장 "민주당에 마지막 기회를 달라" 울먹이며 호소 file 스피라TV통신 2022.05.24 12187
531 성남시장 인수위 "대장동 개발 특혜 등 3건 수사 의뢰 할 것" file 스피라TV통신 2022.07.01 12186
530 경찰, 이준석 성접대 의혹 접대 당사자 김성진 대표 조사 결정. file 스피라TV통신 2022.06.30 12186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46 Next
/ 46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