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피라TV]
 

46.jpg

<사진출처 : news1, 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내놓은 일본의 대(對) 한국 수출규제 조치에 대한 세 번째 공개 메시지는 과거사 문제나 무역분쟁 사태를 넘어 보다 근본적인 한일관계에 의문을 제시하면서 일본 정부에 대한 강력한 불신을 나타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경우에 따라선 이번 사태의 해결 여부와는 별개로 향후 한일협력관계에 근본적인 기조의 변화가 불가피하다는 경고를 천명한 것으로도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주재한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이번 일본의 수출제한 조치는 '상호의존'과 '상호공생'으로 반세기 간 축적해 온 한일 경제협력의 틀을 깨는 것"이라며 "우리가 일본 정부의 수출제한 조치를 엄중하게 바라볼 수밖에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동안 문 대통령은 일본측 주장의 억지를 비판하고 철회를 요구하면서 국제사회 여론전을 비롯한 '외교적 해결'에 최선을 다하는 한편 내부적으로는 이번을 기회 삼아 핵심 부품·소재의 국산화 비율 향상 등 장기적·근본적인 자구책을 추진하겠다는 기조를 보여 왔다.

 

문 대통령은 이날 한걸음 나아가 일본 정부가 '반세기 한일 경제협력의 틀을 깨는 것'으로 이번 사태의 성격을 규정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일본이 우리 경제의 핵심 산업인 '반도체' 소재에서 수출제한 조치를 시작한 것은 일본이 자국 산업의 피해를 막기 위한 통상적인 보호무역 조치와 다르다고 봤다. 우리 경제의 성장을 막겠다는 악의적인 조치라는 것이다.

 

동시에 오랫동안 신뢰관계로 이뤄진 '한일 제조업 분업체계'를 들면서 "국교 정상화 이후 양국은 서로 도우며 함께 경제를 발전시켜 왔다"며 "특히 제조업 분야는 한국이 막대한 무역수지 적자를 겪으면서도 국제분업질서 속에서 부품·소재부터 완성품 생산까지 전 과정이 긴밀하게 연계되어 함께 성장해왔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일본을 믿고서 무역수지 적자를 감수하고도 막대한 부품·소재를 수입해 왔는데 일본이 이를 무기화하면서 신뢰가 무너졌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우리 주력 산업을 겨냥한 일본의 의도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일본과의 제조업 분업체계에 대한 신뢰를 깨뜨려 우리 기업들은 일본의 소재, 부품, 장비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나 수입처를 다변화하거나 국산화의 길을 걸어갈 것"이라며 "결국 일본 경제에 더 큰 피해가 갈 것임을 경고해 둔다"고 했다. 문 대통령이 이번 사태와 관련해 직접 '경고'라는 단어를 언급한 것은 처음이다.

 

일본이 이러한 '판을 깨는' 행동에 나섰으니 우리로서도 이제 그에 걸맞게 신뢰를 배제한 냉정하고 근본적인 대응에 나서지 않을 수 없다는 뜻이다.

 

일본의 이번 조치가 단순히 강제징용 판결 등 과거사 문제에 대한 반발이 아닌 한일 경제협력 역사의 근간을 뒤흔드는, 신뢰에 금이 가는 행동이라는 판단이 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의도가 그렇다면 강제징용 판결 문제를 해결하는 것만으로는 근본적인 대응이 될 수 없는 셈이다.

 

일본이 당초 과거사 문제를 조치의 이유로 내세웠지만 그것은 표면적인 이유일 뿐 본심은 한일 경제협력 근간을 뒤흔들어 우리의 성장을 막기 위한 '전방위적 도발'이라는 것이다. 한일 경제협력 관계를 대하는 정부의 철학과 기조 역시 근본적으로 달라질 것이라는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도 해석된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기업과 정치권, 국민이 모두 힘을 모아 달라고 호소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는 지금보다 더 어려운 도전들을 이겨내면서 오늘의 대한민국에 이르렀다"며 "저와 정부는 변함없이 국민의 힘을 믿고 엄중한 상황을 헤쳐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사태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과 대응 방향을 천명한 대일 메시지가 나온 시점이 김현종 국가안보실 2차장의 방미(訪美) 보고가 이뤄진 직후인 점도 눈여겨볼 만하다.

 

김 차장은 전날(14일) 귀국 직후 기자들과 만나 "우리 동맹국인 미국과 부당한 조치에 대해 충분히 공감대가 형성됐고 백악관 대변인이 '모든 노력을 해 한·미·일 관계를 향상시키겠다는 데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한 면에 대해선 성과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스피라TV 박동혁기자 icsoft@naver.com
 
< 저작권자 ⓒ 스피라티비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09 희생자 호명 사진 배경에 놓고 떡볶이 먹방하며 희희낙락 '더탐사' 진정으로 희생자들을 위한 것인가 file 이원우기자 2022.11.15 11383
908 후쿠시마 오염수 '처리반대' vs '괴담' 팽팽한 여야 줄다리기 file 엽기자 2023.06.23 6826
907 후지TV 막말 '문재인 탄핵이 해법' file 스피라통신 2019.07.19 5804
906 황교안, 과잉 의전 비판에... '당신은 더 심했다' 역풍 file 스피라통신 2021.08.30 11433
905 황교안 축구장 유세 처벌?..선관위 '경미한 사안..행정조치' file 스피라통신 2019.04.02 4955
904 황교안 '외국인 한국에 기여 없어..동일 임금은 불공정' file 스피라통신 2019.06.19 5278
903 환노위 국민의힘 퇴장한 가운데, '노란봉투법' 국회 본회의 직회부 의결 file 이원우기자 2023.05.24 3440
902 화천대유 대주주 경찰 출석... '곽상도 아들, 산재로 50억' file 스피라통신 2021.09.27 9657
901 화물연대 파업에 소주, 맥주 사라질 판 file 스피라TV통신 2022.06.06 12879
900 화물연대 인권위에 업무개시명령 철회 권고 의견 내달라지만...업무개시명령 발동에 호응 하는 국민들 윤 대통령 지지율 상승세 file 이원우기자 2022.12.05 9964
899 홍준표가 쏘아 올린 작은 공, 대구시 대형마트 의무휴일 평일 전환 전국확산 신호탄 되나? file 이원우기자 2022.12.21 5228
898 홍준표, 한동훈 겨냥해 "특검 준비나 해라" file 김성은기자 2024.04.15 186
897 홍준표, 광복절 특사에 '사면은 이벤트, 검찰 잣대 밋밋' file 스피라통신 2022.08.13 11453
896 홍준표, "영부인이 정치 주인공된 사례 없었다" 윤 대통령과 김건희에 동시 경고 file 스피라TV통신 2022.07.22 12458
895 홍준표 “순위조작 가능한 포털 댓글제도, 법으로 바꾸겠다” JUNE 2018.04.23 6158
894 홍준표 '나경원 원내대표 사퇴' VS 민경욱 '내부총질 말라' file 스피라통신 2019.09.14 5285
893 홍준표 'MBN 출입금지, '진주의료원 폐업' 맥락서 추진' file JUNE 2018.02.04 6128
892 홍준표 "난 김경수도 용서" 윤 대통령에 김경수 사면 촉구 file 스피라TV통신 2022.08.11 12927
891 홍익표 의원 '현 국회의원 전원 불출마 전제로 국회해산해야' file 스피라통신 2018.05.08 3112
890 홍익표 원내대표 "이번 국감 폭주하는 윤 정부에 맞설 유일한 수단", 끝내 국방위 국감 파행 file 엽기자 2023.10.10 1906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46 Next
/ 46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