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25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피라TV]
 

70.jpg

<사진출처 : newsis>

 

이명박 전 대통령이 4대강 사업 과정에서 국토부에 '수심을 6m로, 수자원은 8t으로 설정하라'고 지시하면서도 그와 관련한 근거는 제시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국토부는 이러한 내용으로 이 전 대통령으로부터 4대강 사업 세부계획에 대해 반복적인 지시를 받자, 그 타당성이나 근거에 대한 분석없이 그대로 사업을 추진한 것으로 감사 결과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이 전 대통령이 4대강 사업을 추진하면서 추후 대운하사업을 염두에 둔 게 아니냐는 추론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감사원은 운하사업과의 연관성 여부에는 즉답을 피했다.

 감사원은 4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4대강 살리기 사업 추진실태 점검 및 성과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감사원은 보고서에서 이 전 대통령이 국토부가 제시한 사업추진 의견을 고려하지 않고, 수심과 수자원 규모에 자신의 뜻을 반영하라고 누차 지시한 정황을 담았다. 

 4대강 사업은 이 전 대통령이 대운하 사업의 중단을 선언한 지 2개월 후인 2008년 8월 국토부 장관에게 하천정비 사업을 추진하라는 지시하며 본격화됐다. 국토부는 이를 수용하며 같은 해 제방 보강과 준설 사업계획을 보고했다.

 국토부 보고를 받은 이 전 대통령은 처음부터 '보(洑) 설치를 통한 수자원 확보' '가장 깊은 곳 수심을 5∼6m로 굴착'을 강조했다. 또 대통령직 인수위 한반도대운하TF팀 용역자료 성과물을 마스터플랜에 반영할 것을 지시했다. 운하사업을 위해 만든 이 용역자료에서는 선박 통행에 용이하도록 강바닥 수심 목표를 6m로 설정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자 국토부는 같은 해 12월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를 발표하며 쟁점사항인 수심을 결정하지 않았다. 국토부는 이후 '준설과 보 설치만으로는 수자원 확보의 근본대안이 되지 않는다'는 내용의 대통령 보고를 준비했으나 장관의 반대로 하지 못했다.
  
 이후 국토부는 2009년 2월 "최소수심이 2.5∼3m면 홍수 예방이나 물 부족 대처에 충분하고, 추후 3∼4m만 추가 준설하면 기술·경제적 어려움 없이 운하를 추진할 수 있다"고 이 전 대통령에게 최종 보고했다.

 

그러나 이 전 대통령은 국토부의 보고 직후에는 최소수심 3∼4m로 할 것을, 다음 날에는 다시 4∼5m로 할 것을 직접 지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통령실은 4대강 사업 마스터플랜 중간발표를 앞둔 4월 중순까지도 국토부에 물그릇(수자원 확보량)을 8억t으로 늘리라고 당부했고, 이 전 대통령도 낙동강의 최소수심을 6m로 하라는 추가 지시를 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국토부는 같은 해 4월24일 이 전 대통령에게 '낙동강 최소수심은 4m∼6m, 그 외의 강은 2.5∼3m까지 준설하고, 보를 16개 설치해 총 7억6000t의 수자원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을 보고해 수락받았으며, 이 내용대로 마스터플랜은 확정됐다.

 감사원은 주무부처인 이 전 대통령이 '얕은 수심으로도 홍수 예방이 가능하며, 보는 연중 일정한 수심을 유지해야 해 수자원 확보 대안이 되지 못한다'는 국토부의 정책 검토를 만류하고 '6m 수심' '신규 보 설치' '8t 물그릇'을 반복적으로 지시한 의도와 근거를 확인하고자 지난해 11월 이 전 대통령의 집무실을 두 차례 찾았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 전 대통령이 방문조사와 설문조사에 협조하지 않았고, 감사 결과에 이를 담을 수 없었다고 밝혔다. 감사원 관계자는 "당시 청와대 인사는 감사 과정에서 '대통령이 운하에 관심을 많이 가졌다'고 표현했다. 그 외에 이 전 대통령의 판단 근거를 추정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스피라TV 박동혁기자


< 저작권자 ⓒ 스피라티비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9 '친이준석계' 줄줄이 사퇴, 사면초가 이준석 file 스피라TV통신 2022.08.09 12974
108 '청문회 패싱' 박순애, 만취운전 '동문서답'·갑질 의혹 '전면부인' file 스피라통신 2022.07.22 14696
107 '청담동 술자리' 폭로 후 근거 못 내놓는 면책특권 뒤에 숨은 김의겸 file 이원우기자 2022.10.29 11424
106 '천안함 좌초설'주장 신상철씨 '교수가 사실왜곡' 검찰 고발 file 스피라통신 2019.03.28 5910
105 '차량에 부딪쳐 버리죠' 윤석열 집 앞서 협박 file 스피라통신 2019.04.26 5370
104 '지하철 안 하면서 마트는 왜'... 방역패스 중단, 이르면 주중 결론 file 스피라통신 2022.01.09 12445
103 '지지율 하락 원인? 알면 다 잘하겠지' 尹 발언에 野 발칵 file 스피라통신 2022.07.19 14766
102 '쥴리의 남자들' 속편 '王(왕)+개 사과+전두환=' 윤석열 조준 file 스피라통신 2021.11.14 11427
101 '중재자 문재인' 역할 당부한 트럼프 '김정은과 대화해서 결과 알려달라' file 스피라통신 2019.03.01 6449
100 '조금박해' 연일 돌아가며 이재명 대표 사퇴 요구, 코앞까지 성큼 다가온 사법리스크 부담 민주당의 결단은? file 이원우기자 2022.11.22 7692
99 '조국 딸 성적 모욕' 일베회원들 검찰 송치... '손해배상 청구 예정' file 스피라통신 2020.07.26 17728
98 '제일 존경하는 지만원 박사님' 김진태, 광주선 '5·18 유공자 존경' file 스피라통신 2019.02.12 5500
97 '정순신 아들 학폭' 청문회 31일 열린다. file 이원우기자 2023.03.21 13652
96 '전화홍보방 불법운영 혐의' 민주 정준호 캠프관계자 2명 영장 file 김성은기자 2024.04.01 525
95 '저학력, 저소득' 발언으로 논란에 휩싸인 이재명 file 스피라TV통신 2022.08.02 13149
94 '저토록 무식해도 검찰총장 오를 수 있다는 게 신기' [아이들은 나의 스승] file 스피라통신 2021.10.21 14546
93 '재판거래' 의혹, 권순일 대법관 사실상 변호사 등록 퇴짜맞아 file 이원우기자 2022.10.27 25116
92 '일본인이 소녀상에 침 뱉어'…잡고 보니 한국인 file 스피라통신 2019.07.07 4155
91 '인구분산'에 초점 맞춘 3기신도시, 성패는 '교통망' file 스피라통신 2018.12.19 6592
90 '이태원 참사' 정치에 이용한 '정치병자' 남영희 부원장, 과연 남 부원장은 정치를 할 자격이 있는 사람인가? file 이원우기자 2022.10.31 11360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Next
/ 46

사용자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