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25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피라TV]
 

70.jpg

<사진출처 : newsis>

 

이명박 전 대통령이 4대강 사업 과정에서 국토부에 '수심을 6m로, 수자원은 8t으로 설정하라'고 지시하면서도 그와 관련한 근거는 제시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국토부는 이러한 내용으로 이 전 대통령으로부터 4대강 사업 세부계획에 대해 반복적인 지시를 받자, 그 타당성이나 근거에 대한 분석없이 그대로 사업을 추진한 것으로 감사 결과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이 전 대통령이 4대강 사업을 추진하면서 추후 대운하사업을 염두에 둔 게 아니냐는 추론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감사원은 운하사업과의 연관성 여부에는 즉답을 피했다.

 감사원은 4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4대강 살리기 사업 추진실태 점검 및 성과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감사원은 보고서에서 이 전 대통령이 국토부가 제시한 사업추진 의견을 고려하지 않고, 수심과 수자원 규모에 자신의 뜻을 반영하라고 누차 지시한 정황을 담았다. 

 4대강 사업은 이 전 대통령이 대운하 사업의 중단을 선언한 지 2개월 후인 2008년 8월 국토부 장관에게 하천정비 사업을 추진하라는 지시하며 본격화됐다. 국토부는 이를 수용하며 같은 해 제방 보강과 준설 사업계획을 보고했다.

 국토부 보고를 받은 이 전 대통령은 처음부터 '보(洑) 설치를 통한 수자원 확보' '가장 깊은 곳 수심을 5∼6m로 굴착'을 강조했다. 또 대통령직 인수위 한반도대운하TF팀 용역자료 성과물을 마스터플랜에 반영할 것을 지시했다. 운하사업을 위해 만든 이 용역자료에서는 선박 통행에 용이하도록 강바닥 수심 목표를 6m로 설정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자 국토부는 같은 해 12월 '4대강 살리기 프로젝트'를 발표하며 쟁점사항인 수심을 결정하지 않았다. 국토부는 이후 '준설과 보 설치만으로는 수자원 확보의 근본대안이 되지 않는다'는 내용의 대통령 보고를 준비했으나 장관의 반대로 하지 못했다.
  
 이후 국토부는 2009년 2월 "최소수심이 2.5∼3m면 홍수 예방이나 물 부족 대처에 충분하고, 추후 3∼4m만 추가 준설하면 기술·경제적 어려움 없이 운하를 추진할 수 있다"고 이 전 대통령에게 최종 보고했다.

 

그러나 이 전 대통령은 국토부의 보고 직후에는 최소수심 3∼4m로 할 것을, 다음 날에는 다시 4∼5m로 할 것을 직접 지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통령실은 4대강 사업 마스터플랜 중간발표를 앞둔 4월 중순까지도 국토부에 물그릇(수자원 확보량)을 8억t으로 늘리라고 당부했고, 이 전 대통령도 낙동강의 최소수심을 6m로 하라는 추가 지시를 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국토부는 같은 해 4월24일 이 전 대통령에게 '낙동강 최소수심은 4m∼6m, 그 외의 강은 2.5∼3m까지 준설하고, 보를 16개 설치해 총 7억6000t의 수자원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을 보고해 수락받았으며, 이 내용대로 마스터플랜은 확정됐다.

 감사원은 주무부처인 이 전 대통령이 '얕은 수심으로도 홍수 예방이 가능하며, 보는 연중 일정한 수심을 유지해야 해 수자원 확보 대안이 되지 못한다'는 국토부의 정책 검토를 만류하고 '6m 수심' '신규 보 설치' '8t 물그릇'을 반복적으로 지시한 의도와 근거를 확인하고자 지난해 11월 이 전 대통령의 집무실을 두 차례 찾았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 전 대통령이 방문조사와 설문조사에 협조하지 않았고, 감사 결과에 이를 담을 수 없었다고 밝혔다. 감사원 관계자는 "당시 청와대 인사는 감사 과정에서 '대통령이 운하에 관심을 많이 가졌다'고 표현했다. 그 외에 이 전 대통령의 판단 근거를 추정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스피라TV 박동혁기자


< 저작권자 ⓒ 스피라티비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9 김성태 '자유한국당 중앙당 해체' file 스피라통신 2018.06.18 4359
108 바른미래당, 의총시작부터 기싸움..이언주 '입장제지' file 스피라통신 2019.04.18 4358
107 김정은 위원장, 교황 평양 초청 '평양 방문하시면 열렬히 환영' file 스피라통신 2018.10.09 4344
106 박지현 김의겸, 장경태 등 실명 거론하면 비판 "작금의 민주당은 사어버 렉카와 같다" file 이원우기자 2022.11.21 4332
105 조국 전 민정수석, 서울대 복직 신청 file 스피라통신 2019.07.31 4308
104 여야 ‘권성동 사퇴’ 놓고 대치… 법안처리 빨간불 file JUNE 2018.02.07 4272
103 이상돈 '안철수 매번 3등 정계 은퇴 수순' file 스피라통신 2018.06.20 4268
102 바다로 간 남북 단일팀 JUNE 2018.02.09 4258
101 8일 단식접은 김성태 성과는? file 스피라통신 2018.05.12 4258
100 문재인 대통령, 스웨덴 국빈 방문 file 스피라통신 2019.05.30 4254
99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 폭파 JUNE 2018.05.25 4212
98 김성주 '민주유공자법' 관련 "셀프 입법 아니야, 민주화 공 인정해 달라는 것" file 엽기자 2023.06.27 4175
97 AGAIN 국민의당? 신당 창당 계획하며 제3지대 부활 꿈꾸는 이들 file 엽기자 2023.06.21 4169
96 '일본인이 소녀상에 침 뱉어'…잡고 보니 한국인 file 스피라통신 2019.07.07 4155
95 文대통령 규제혁신 낙제점 '경제팀 큰 과제' file 스피라통신 2018.06.28 4145
94 민주, 재난지원금 릴레이 기부... 의원들 선언 잇따라 file 스피라통신 2020.05.01 4038
93 한미 軍, 풍계리 예의주시… file 스피라기자 2018.05.24 4006
92 더불어민주당 비명계 "이 대표 측근 구속에 대해 유감 표명 해야" file 이원우기자 2022.11.21 3992
91 오거돈 부산시장 성추행 인정하고 사퇴하다 file 엽기자 2020.04.23 3849
90 한국당 당권 쥔 황교안, 당선 file 스피라통신 2019.02.28 3536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Next
/ 46

사용자 로그인